18.220.160.216
18.220.160.216
close menu
KCI 등재
「자장정률(慈藏定律)」에서 확인되는 자장(慈藏)의 최후기록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f Jajang's Final Record confirmed in 「Jajang Jeongryul (慈藏定律)」
염중섭 ( Youm Jung-seop )
온지학회 2019.01
온지논총 58권 205-233(29pages)
DOI 10.16900/ONJI.2019.58.07.205
UCI I410-ECN-0102-2019-800-001772531

자장은 계율을 통해서 신라불교의 기틀을 확립하고, 문수신앙과 舍利숭배라는 획이 굵은 행보들을 보인다. 이는 자장이 『삼국유사』를 통틀어 가장 많이 언급되는 고승이 되는 이유가 된다. 그러나 자장이 한국불교사 안에서 최고층에 속한다는 점. 그리고 자장과 관련된 자료들 중 중국문헌과 국내문헌 간에는 관점 차이가 크기 때문에 통일된 인식을 갖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고는 국내자료에만 수록되어 있는 자장의 만년 태백산 행에서부터 石南院의 입적 부분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통해서 새로운 두 가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는 자장 溟州행의 종교적인 목적인 문수친견에 다층의 혼란스러운 문제점이 존재한다는 점. 이는 자장이 경주에서 김춘추계에 밀려나 명주를 찾아 반전의 기회를 마련하려고 했다는 점에 대한 한 타당성을 부여한다. 그러나 자장은 결국 실패하게 된다. 이는 둘째 석남원에서의 비극적인 최후와 화장 후 納骨되는 내용으로 연결된다. 이 기록은 고승의 입적기록으로는 매우 이례적이다. 그러므로 이의 원자료는 자장이 재평가되는 신라하대 이전의 기록에 따른 것이라는 판단을 가능케 한다. 또 납골에 대한 측면은 자장의 석남원 입적의 사실성을 변증해주는 유적이 된다. 결론적으로 자장의 최후기록은 다소 혼란스럽지만, 이 문건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자장의 석남원 입적이 사실에 기초한 기록임을 알 수 있다.

Jajang who established the foundations of Silla Buddhism through the Gyeyul(Law and Discipline) showed significant achievements in śarīra faith and Mañjuśri worship. This is the reason why Jajang became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monk in "Samguk Yusa". However, the fact that Jajang belongs to the highest class in Korean Buddhist history. And there are difficulties in unified understanding about him because he belongs to the highest layer in Korean Buddhist history and there are some perceptional differences between Chinese and Korean documents among the materials related to Jajang. This paper makes an analysis of Jajang's later part from his entrance into Mt. Taebaeg to his death at Seognamwon(石南院) which is recorded only in Korean materials. Through this, we can find two new facts. The first is that there are several confusing problems in Jajang's personal meeting with Mañjuśri, which was the religion intention of his trip to Myeongju (溟州). This gives a plausibility that Jajang was pushed away from Gyeongju by the group of Kim Chunchu and so he went to Myeongju to find an opportunity of reversal. But Jajang could not succeed at all. This second is related with his tragic death at Seognamwon and the enshrinement of his ashes after cremation. This record is very unusual for the death record of a renowned monk. Therefore, we can well infer that this record was originated from the material written before the later days of Silla when Jajang was re-evaluated. Also, the enshrinement of his ashes at Seognamwon vindicates the truthfulness of the record about Jajang. Through this, though the final record about Jajang gets somewhat confusing, its close analysis can give us the assurance that this is a fact-based record.

Ⅰ. 序論
Ⅱ. 자장의 태백산 행과 석남원 개창
Ⅲ. 자장의 문수친견 실패와 입적기록
Ⅳ. 結論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