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6.42.208
18.116.42.208
close menu
KCI 등재
사진 중심 알림장을 활용한 부모교육이 발달지체유아와 어머니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arents Education Using the Photo-Centered Class Note on the Communication between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Their Mothers
김도경 ( Kim Do-kyoung ) , 김향지 ( Kim Hyang-ji )
지적장애연구 21권 1호 117-141(25pages)
DOI 10.35361/KJID.21.1.6
UCI I410-ECN-0102-2019-300-001131326

본 연구는 사진 중심 알림장을 활용하여 어머니-유아 간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진 중심 알림장은 기존 알림장의 내용에 유아의 활동사진을 삽입하여 어머니-유아의 의사소통 매개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의 참여 대상은 경상북도 P시의 장애전문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부모와 발달지체유아 3쌍이다.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중재는 13회를 실시하고 유지는 중재 종료 후 2주 뒤에 연속적으로 3회 실시하였다. 모든 과정은 비디오카메라로 녹화하여 전사하였다. 부모교육은 어린이집에서 유아들이 휴식을 취하는 낮잠 시간에 진행되었으며, 지식교육과 피드백교육의 2가지 과정으로 나누어진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진 중심 알림장을 활용한 부모교육은 어머니의 의사소통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발달지체유아들의 의사소통 행동 빈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부모-유아의 의사소통 참여 시간은 기초선 기간보다 중재 기간에 의사소통 시간의 양이 증가하였으며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사진 중심 알림장이 어머니, 유아 모두의 의사소통 행동의 질적, 양적의 향상을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가정에서 공간, 시간적 제약이 낮고 쉽게 활용할 수 있으며 자연스러운 대화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점 등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ffects on the communication between young children and their mothers by using the photo-centered class note. In order to use the photo-centered class note as a medium of communication between mothers and their young children, the activity photos of young children were added to the contents of the existing class not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the three pairs of parents and thei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of a daycare center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top of using the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total 13 times of intervention were conducted. In two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ended, total three times of maintenance were performed sequentially. The parents education was performed during the nap time for young children in the daycare center, and it was divided into two courses such as knowledge education and feedback education. First, the parents education using the photo-centered class note had positive effects on the communication behavior of mothers. Second, it also had positive effects on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behavior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ird, the participation time of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young children was more increased in the intervention period than the baseline period, which was maintained even after the intervention end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at the intervention could be an efficient method as mothers and young children could easily participate in the intervention for a short time in daily life and also their communication could be done in the natural dialogue situation. Also, through the parents education, it could be led to the process that is directly practiced by parents, rather than the simple delivery of knowledge.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