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3.106.232
18.223.106.232
close menu
KCI 등재
관찰함 작동의 보편성에 관하여: 조지 스펜서-브라운의 지시산법과 그 인식론적 잠재력
On a Generality of the Observing-Operation: The Calculus of Indication by George Spencer-Brown and its Epistemological Potentials
이철 ( Lee Chul )
DOI 10.17207/jstc.2019.03.22.1.2
UCI I410-ECN-0102-2021-300-000339612

이 글은 산법을 산법 안에 재진입시키는 산법을 소개함으로써, 관찰함 작동의 보편성을 탐구한다. 영국의 수학자 조지 스펜서-브라운이 창안한 “지시산법(calulus of indication)”은 자기를 형성하는 과정 속에 자기를 재진입시킴으로써, 자신을 포함하는 모든 것을 지시할 수 있다. 산법은 작동을 뜻한다. 즉 모든 작동은 자신을 생성시키는 작동 과정 내에 작동 자신을 재진입시킨다. 이 과정의 분석은 다음 세 단계의 입증으로 구성된다. 1. 모든 작동은 바로 그 작동 자신과 함께, 이전 상태와 이후 상태라는 두 가지 상이한 상태들을 만들어낸다. 2. 그 두 상태는 ‘구분되어-지시되지’ 않은 무표(無標) 상태와 ‘구분되어-지시된’ 유표(有標)’ 상태를 형성하여, 공동의 경계를 통해 분리되어 있다. 3. 완전하게 분리된 그 두 상태는, 무표에서 유표로의 이동과 유표에서 무표로의 이동의 동시 실행에 의해 시간 면을 생성시키면서, 그 시간 면에서의 작동을 통해 통합된다. 이 작업은 실재와 가상 및 그 동일성이 작동의 구성물로서 생성되며, 객체와 주체의 차이, 이전과 이후의 차이, 선택되지 않은 것과 선택된것의 차이를 각각 사회적 차원, 시간적 차원, 사실적 차원으로 생성시키는 분석 프레임을 가능하게 한다.

This paper explores a generality of the observing-operation, introducing the calulus of indication re-entering the calculus into itself. The calulus of indication invented by the english mathmatician, George Spencer-Brown can indicate all including the calculus itself by re-entering the calculus itself into the self-generating process. The calculus means operation. All kinds of operation re-enter the operation itself into the process generating itself. The analysis of these processes consists of the proof of the three stages. 1. All operations put two different stats before and after with the operation itself. 2. The two states form an ‘diffentiated but unindicated’ unmarked state and an ‘diffentiated and indicated’ marked state, and let the both isolated through joint boundary. 3. The two completely isolated states, generating the temporal space through simultaneous actualization of oscillation from unmarked to marked state, and vice versa, can be integrated through the operation on the very temporal space. The proof of these processes enables an analysis frame in which not only reality and appearance and their identity are generated as constructs of the operations, but also the difference of object and subject, such of before and after, and such of selected and unselected are shown respectively as social, temporal, factual dimensions.

Ⅰ. 관찰함 개념의 보편성과 조지 스펜서-브라운의 지시 산법
Ⅱ. 지시산법의 구상
Ⅲ. 지시산법의 구조적 불완전성과 대수 계산의 한계
Ⅳ. 산법의 산법 내부로의 재진입(Re-entry)
Ⅴ. 시간 면의 생성과 ‘공간-시간-공간(공간)’의 표시자
Ⅵ. 첫구분-표시-관찰자의 (차이)동일성 및 인식론적 효용들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