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7.170.183
3.137.170.183
close menu
KCI 등재
개신교 배타주의와 종교적 평화담론: ‘상호존재신론’을 중심으로
Protestant Exclusivism and Religious Peace Discourse: Focusing on ‘Interbeing-theism
김종만 ( Kim Jong-ma )
DOI 10.17207/jstc.2019.03.22.1.4
UCI I410-ECN-0102-2021-300-000339632

작금의 한국 개신교는 “교회 밖에는 구원이 없다”를 넘어 ‘우리 교회’ 밖에는 구원이 없다는 새로운 극단적 배타주의로 나아갔다. 한국 교회는 교회의 공적 기능을 간과하고 철저히 개교회 중심의 사적 기능으로 전도(顚倒)됨으로써 구원까지도 개교회, 혹은 특정 교파가 독점한 듯한 인상을 준다. 이러한 한국 개신교의 극단적 배타주의는 교회의 게토화로 이어졌고 결국 배타주의(排他主義)가 ‘배자주의(排自主義)’가 되어 교회 성장의 제로시대와 마이너스 시대를 경험하고 있다. 본 논문은 한국 개신교의 배타주의의 본체인 서구 중심의 배타적 신관을 극복하고 배타주의를 타개할 지역적 신관으로 상호존재신론을 제시하여 종교적 평화 담론의 성립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호존재신론은 신관의 보편화 혹은 제국주의를 지향하는 초월적 유신론과 달리 언제, 어느 곳에서나, 토착화 된 그리스도교에서는 새로운 신관이 창출될 수 있다는 개방성, 다양성, 상대성을 중시하는 신관이다. 이는 인식의 다양성을 존중하며 평화가 단수가 아니라 복수이며 주어가 아니라 술어이고, 완료형이 아니라 현재 진행형으로서의 과정이고, 분리가 아니라 공존으로 규정되는 평화다원주의와 구조적으로 동일하다.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전개된다. 우선한국 개신교 배타주의와 배타주의 신관의 기원을 밝힌다. 다음은 지역신관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상호존재와 상호존재신론의 정의를 규정한다. 그리고 상호존재신론의 특징과 평화의 공통점을 고찰한 후, 마지막 결론에서는 종교적 평화담론의 의의를 서술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베트남 승려 틱낫한(Thich Nhat Hanh)과 종교해방신학자 폴 니터(Paul Knitter)가 주목한 ‘상호존재(Interbeing)’를 통해서이다. 구체적으로는 불교의 연기(緣起)와 공(空)을 틱낫한이 ‘상호존재’로 해석하고 니터가 ‘상호존재’를 하느님으로 이해하는 것에 착안하여 불교의 공관과 그리스도교의 신관을 접목하여 새로운 신관인 ‘상호존재신론(Interbeing-theism)’을 제시함으로써이 신관을 통해 배타주의를 어떻게 해소하고, 그리하여 종교 평화담론에 어떤 기여가 있는지를 고찰한다. 따라서 본고는 상호존재신론이 개신교 배타주의의 독소를 제거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이를 통해 종교적 평화담론에 긍정적인 공헌을 할 수 있다는데 논문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a religious peace discourse by overcoming exclusive theism centered in the West of the center of exclusivism in Korean Protestantism and presenting Interbeing-theism as a local theism to overcome exclusivism. The interbeing-theism is a local theism that emphasizes openness, diversity, and relativity, that a new theism can be created whenever and wherever, in an indigenized Christianity, unlike a supernatural theism, which is the universalization of theism or imperialism. This not only respects the diversity of cognition, but also shows that peace is not singular, but plural, and not subject, but predicate. And peace is not a complete form but a process as a current progressive, and is structurally the same as peace pluralism, which is defined not as separation but coexistence. As a research methodology, this paper is based on Interbeing, which was noticed by Thich Nhat Hanh, a Vietnamese monk and Paul Knitter, a religious liberation theologian. Specifically, this paper interprets concept of dependent co-arising(緣起) and emptiness(空) of Buddhism as Interbeing by Thich Nhat Hanh, and is based on Knitter’s understanding of "Interbeing" as God. Thus, this paper suggests ‘Interbeing-theism’ by combining the Buddhist view of emptiness and Christian view of God. By doing so, we will see how this theism resolves exclusivism and thus contributes to religious peace discourse. Therefore, this paper has the significance of the thesis that Interbeingtheism plays a major role in eliminating the toxins of Protestant exclusivism and thus can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religious peace discourse.

Ⅰ. 들어가는 말
Ⅱ. 한국 개신교 배타주의와 배타주의 신관의 기원
Ⅲ. 왜 지역신관(local theism)인가?: 지역 신관의 필요성
Ⅳ. 상호존재와 상호존재신론
Ⅴ. 상호존재신론의 특징과 평화의 공통점
Ⅵ. 나가는 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