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127.232
3.144.127.232
close menu
KCI 등재
증강현실을 이용한 중재가 조음음운장애 아동의 조음정확도 개선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iveness of Augmented Reality Intervention on Improvement of Articulation Accuracy in Children with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
이창윤 ( Lee Chang-yoon ) , 박희준 ( Park Hee-june ) , 김근효 ( Kim Geun-hyo ) , 권순복 ( Kwon Soon-bok )
DOI 10.23944/Jsers.2019.03.58.1.8
UCI I410-ECN-0102-2019-300-001182025

조음음운장애 치료는 조음점 지시법과 같은 전통적 기법과 짝자극 기법 등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전통적 기법은 개별음의 정확성에만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대화 및 문장수준의 복합적인 조음변화에 대해서는 한계가 있다. 우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증강현실을 적용하여 기존 치료법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능동적인 치료 참여를 이끌어 내어 조음정확도의 개선과 빠른 자극 일반화의 중재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4세에서 7세의 조음장애 아동 1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조음정확도가 모두 -2 표준편차 이하의 수준이었다.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중재 전 후로 단어와 문장수준 모두에서 조음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두 집단 모두 조음점지시법과 짝자극 기법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실험그룹에만 증강현실 중재 프로그램을 추가로 사용하였다. 중재를 실시 후, 두 그룹 모두 단어와 문장 수준에서 조음정확도가 유의미하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 미하지는 않았지만 증강현실을 적용한 그룹에서 치료 횟수와 기간이 더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증강현실 프로그램이 동사를 기반으로 하는 동적인 정보를 포함하기 때문에, 증강현실을 적용한 집단은 문장수준으로의 자극 일반화가 더 쉽게 이루어졌다. 목표자음에 해당하는 증강현실 자극을 제시하는 것은 아동에게 보다 더 높은 집중력에서 문장수준의 연습을 가능하게 하며, 때로는 더 긴 문장에서 반복적으로 연습을 하여 목표음에 대해 더 빠른 중재효과를 보일 수 있을 것이다.

The treatment of articulation-phonological disorder has been mainly focused on traditional techniques such as phonetic placement procedure, paired-stimulus treatment. However, traditional techniques focus only on the accuracy of individual sounds, so there is a limit to the complex modulation of conversation and sentence level. We attemp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therapies by applying augmented reality, which is recently attracting attention, and to investigate the improvement of articulation accuracy and the mediation effect of rapid stimulation generalization by inducing active participation in therapy. The study was conducted on 10 children with articulation-phonological disorder aged 4 to 7 years, and the accuracy of articulation was less than -2 standard deviation. The group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and the accuracy of the articulation was measured at both word and sentence level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In both groups, we applied the articulation phonetic placement procedure and paired-stimulus treatment program, and used the augmented reality intervention program only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intervention,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articulation accuracy at word and sentence level.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number of treatments and treatment duration were shorter in the augmented reality group. Because the augmented reality program contains dynamic information based on the verb, the group applying the augmented reality is more generalized to stimulate the sentence level. Presenting the augmented reality stimulus corresponding to the target consonant enables the child to practice the sentence level at a higher concentration, and sometimes iteratively exercises in a longer sentence to show a faster intervention effect on the target sound will be.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고찰
V. 결 론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