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6.47.111
18.116.47.111
close menu
KCI 등재
신문사설 분석을 통한 산불에 대한 사회적 인식연구
Study on Korea Social Perceptions on the Forest Fires of Newspaper Analysis
김보미 ( Bomi Kim ) , 박주원 ( Joowon Park )
DOI 10.14578/jkfs.2019.108.1.88
UCI I410-ECN-0102-2019-500-001737500

본 연구는 신문 사설의 분석을 통해 산불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형성하는 조건, 산불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내용, 인식과 산불관리 정책의 연관성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1988년 1월 1일부터 2017년 5월 15일까지 5개 중앙지에 보도된 총 44건의 산불 관련 사설을 대상으로 하였다. 산불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형성하는 조건은 산불 관련 사설 수와 산불현상의 특징의 증감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산불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산불 관련 사설의 범주와 주요주제어, ‘산불관리주체’와 ‘산불방지대책’에 관한 사회적 인식의 내용 및 산불관리정책과의 연관성으로 나누어 Nvivo11을 통해 데이터 범주화, 단어별 사용빈도 분석을 실시하고 사용빈도가 높은 단어를 중심으로 사설주제에 대한 맥락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산불이 사회적 인식을 형성하는 조건은 산불피해면적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불 관련 신문사설에서 출현 빈도가 높은 주요 주제어를 기간 및 범주별로 분석한 결과 제1분석기에는 산불관리를 총체적 산림관리의 일환으로 여기며, 산불관리 주체로서 국민에게 산불에 대한 책임과 의무를 강조하는 인식이 높은 강도로 나타났다. 제2분석기에는 산불 예방과 진화를 위한 관리 뿐 아니라 환경·생태적 시각에서 관리하려는 인식이 등장했다. 제3분석기에는 산불이 사회재난의 일종으로 관리되면서 국가가 국민을 산불로부터 보호하고, 철저하게 사회재난관리를 해야 한다고 요구하는 사회적 인식이 점차 강화되었다. 이 같은 변화는 3차 산림기본계획에서 국민 계도를 통한 산불 예방을 목표로 한 산불관리 계획이 수립되고 4차 산림기본계획에서는 산림자원의 보호와 자연생태계 보전을 목표로 한 산불관리 계획이 추진되었으며, 5차 산림기본계획에는 인명피해 예방에 관한 산불관리계획이 수립된 것과 유사한 흐름을 보였다. 산불관련 신문사설 분석을 통하여 산불에 대해 형성된 사회적 인식을 분석하고 산불정책과 비교해 본 결과 산불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산불관리 정책은 상호 연관성을 갖고 변화해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when forest fire as a natural phenomenon becomes constructed as social issues in Korea; how the forest fire-related discourses in the editorials reflecting the social perceptions have been changed regarding the principal subject and the measures of the forest fire management; and whether the social perception on the forest fire affects the forest fire policy of the state. From the analysis of a total of 44 editorials related to forest fires from 1988 to 2017. By the using, in the forest fire-related editorials the social perceptions on forest fires are forest fire editorials categories, main keywords, contents of social perception on ‘the main subject responsible for forest fire management,’ ‘forest fire prevention measures,’ categorization, frequency analysis and context analysis of words used. It is found that in the first-period forest fire management measures were recognized as a part of the overall forest management. In the second period, the approaches of ecological management emerged on the part of forest fire management. As forest fires were managed as a type of social disaster during the third period, such perceptions were gradually reinforced that the state should protect the people from the forest fire. In the 3rd, 4th, and 5th National Forest Plan, the forest fire management policy of each period was focused in enlightening the general public, protecting forest resources ecosystems, and preventing loss of lives,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social perceptions and comparing them to the forest fire policies through the analysis of editorials on forest fires, it is found that the social perception on the forest fire and forest fire management plan has changed having interconnections.

서 론
연구방법
결과 및 고찰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