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5.149.32
18.225.149.32
close menu
KCI 등재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습득에 대한 뇌반응 연구 -MMN과 숙달도-
A Neurocognitive Study on the Acquisition of Korean Vowels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MMN & Proficiency-
이선영 ( Lee Sun-young ) , 조정화 ( Cho Jeonghwa ) , 남기춘 ( Nam Ki-chun ) , 전현애 ( Jeon Hyeon-ae ) , 김영주 ( Kim Youngjoo )
새국어교육 118권 193-222(30pages)
UCI I410-ECN-0102-2019-700-001670404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목적: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구별 능력이 한국어 숙달도에 따라 발달하는지에 대해 행동반응과 뇌반응 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방법:중국어와는 달리 한국어에 존재하는 두 개의 중간전설모음 /ㅔ/와 /애/에 대한 구별 능력을 한국어 숙달도 중급 학습자(11명), 고급 학습자(16명) 두 집단을 대상으로 AX 변별과제(행동반응) 실험과 ERP 뇌반응 실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두 그룹 사이에 행동반응에서는 정확도나 반응속도에 있어서 차이가 없었으나 뇌반응에서는 MMN 반응이 중급 집단과 달리 고급 집단에서만 나타났다. 결론:이는 제2언어 모음에 대한 신경학적인 민감도가 학습자의 숙달도 발달에 따라 함께 높아짐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결정적 가설 시기 및 그에 기반을 둔 ASP 모델의 가설에 반대되는 결과로 성인 학습자도 충분히 제2언어 음운체계 습득이 가능함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Purpose: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quisition of Korean vowels by Chinese learners of Korean using MMN in relation to their L2 proficiency. The Korean vowel system includes both /e/(/ㅔ/), a mid-high front vowel and /ε/(/ㅐ/), a mid-low front vowel (Lee, 1996; Lee, 2012) whereas the Standard Chinese vowel system has only /ε/, a mid-low front vowel (Yi Tso-lin, 1920). Methods:This study investigated L2 learners’ perceptual sensitivity to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wo Korean mid front vowels, /e/(/ㅔ/) and /ε/(/ㅐ/). Two groups of learners (11 intermediate & 16 advanced) participated in an AX discrimination task for behavioral responses and an ERP experiment for brain responses. Results:The results revealed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behavioral responses while their brain responses were different: MMN was elicited only in the advanced group. Conclusion:The results indicate that L2 learners’ phonemic sensitivity can develop as their L2 proficiency improves, contrary to the hypothesis of the ASP model (Strange, 2011).

1. 들어가는 말
2. 선행연구
3. 실험 방법
4. 실험 결과
4. 논의
5.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