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9.131.72
18.119.131.72
close menu
KCI 등재
학령후기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수용적 양육태도가 분노조절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 명확성과 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검증
The Effect of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on Anger Control of the Late School-Aged Childre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김혜원 ( Kim Hye Won ) , 이지연 ( Lee Jee Yon )
학교사회복지 45권 135-157(23pages)
DOI 10.20993/jSSW.45.6
UCI I410-ECN-0102-2019-300-001194047

본 연구는 학령후기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수용적 양육태도가 분노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인식 명확성과 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이 매개효과를 보이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5, 6학년생 414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령후기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수용적일수록 정서인식 명확성이 높고, 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며, 분노조절을 잘했다. 그리고 정서인식 명확성이 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에 미치는 영향 및 정서인식 명확성과 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이 각각 분노조절에 미치는 영향도 유의하였다. 둘째, 학령후기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수용적 양육태도는 분노조절에 직접 영향도 미치지만, 정서인식 명확성과 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을 각각 부분매개로 하여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령후기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수용적 양육태도는 정서인식 명확성과 적응적 인지정서조절 전략의 이중매개로도 분노조절에 영향을 미쳤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앞으로의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on the association between late school-aged children's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and anger control.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14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in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when higher scores on children's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scores on emotional clarity, increase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cores and higher levels of anger control were found. And emotional clarity had direct effect on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 addition, emotional clarity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had direct effect on anger control. Second, emotional clarity were found to significantly mediate the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and anger control.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and anger control. Third,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had an effect on anger control through the sequential double mediation of emotional clarity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Discussion of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the present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presented.

Ⅰ. 서 론
Ⅱ. 방 법
Ⅲ. 결 과
Ⅳ. 논 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