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1.100.120
3.141.100.120
close menu
KCI 등재
인권과 여성권리의 딜레마 - 여성주의 관점에서 인권 변화에 대한 연구 -
Is human rights put into a dilemma in face of female rights - A study about the meaning change of human rights by views of feminism -
이정은 ( Lee Jeong Eun )
시대와 철학 30권 1호 209-245(37pages)
DOI 10.32432/KOPHIL.30.1.7
UCI I410-ECN-0102-2021-100-000340924

보편인권과 만민평등은 근대 사회계약론에 의해 정립된다. 자연권과 자연법에 기초하여 인권의 자명성이 천명되고, 18세기에는 세계사적 인권선언문들이 발표된다. 여성인권과 남녀 평등을 주장하는 여성주의 이론도 보편인권의 성립과 더불어 가능해졌고, 근대 사회계약론은 여성주의의 형성 기반이기도 하다. 그러나 유엔의 「세계인권선언문」에 기초하여 보편인권의 전 지구적 실천을 추진하는 21세기에도 남녀 평등과 여성 주체성에 대한 저항은 계속되며, 여성의 자립에 대한 공포와 혐오를 유포하고 있다. 팔루디는 남녀평등에 저항하는 20세기 후반의 총체적 행태를 ‘반격’이라 부른다. 인권은 자명한 것인데, 왜 여성인권을 거부하는 반격이 반복될까? 이 글은 이런 문제의식에서 인권 개념의 형성 과정을 소개하고, 만민평등과 보편인권을 주장하는 근거인 ‘자명성’과 ‘자명성에 대한 근거’를 특히 로크를 중심으로 전개한다. 인권의 근거를 제시했음에도, 인권 침해와 불평등이 어떻게 가능했는지를 버크의 보수주의와 연결하여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21세기에도 여성의 자립에 대한 저항이 반복되는 이유와 반격을 뒷받침하는 토대를 분석하여 사이비 보수와 남성성의 유대를 극복하는 길을 모색한다.

Universal Human Rights and Equality are established by modern philosophers about the theory of social contract. The self-evidence or self-righteousness of human rights in 18th century was declared on the basis of natural rights and natural laws. People drew up the Declaration of Human Rights based upon them. Human rights made a systematic establishment of feminism possible. Feminism and gender equality ground social contract theory. United States announced UN Declaration of Human Rights and has pursued worldwide realization of human rights. However, lots of resistance to gender equality and to women autonomy continue even in the 21st century and then some people strive to restore the traditional view of women by spreading fear and hatred(disgust) toward women's independence. Susan Faludi names that as "backlash". That means the collective behaviors of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Human rights are self-evident. Nevertheless, Why does the overall response(assistance) happen toward feminism and feminists? This paper comes back to the ground of historical formation in human rights. And it focuses on Locke to seek a basis of human rights, and to trace foundations of self-evidence it self. But Locke presents not only the basis of human rights but also the objects of exception. So this paper examines how advocates of human rights have undermined women rights and equality, and links their weird positions with Burke's conservatism. Finally, it aims to analyze the reasons for resistance to women's self-reliance in the 21st century and to seek a way to overcome the bond of pseudo-conservatism and masculinity.

I. 서론
2. 인권 개념의 철학사적 형성
3. 원초적 인권의 근거 - 자연권의 로크적 자명성?
4. 자명성의 권역에서 밀려난 여성인권 - 보편인권을 둘러싼 명암
5. 여권을 배제하는 논리 - 버크의 보수주의
6. 소멸되지 않는 ‘반격’의 근거 - 불평등의 자명성?
7.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