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88.142.146
18.188.142.146
close menu
KCI 등재
조식의 ‘경의(敬義)’설에서 ‘안·밖’과 ‘성(誠)’
Inner side·outer side of mind' and Seong(誠;sincerity) in Cho Shik’s Gyeong-Ui Theory
진보성 ( Jin Bo Sung )
시대와 철학 30권 1호 247-278(32pages)
DOI 10.32432/KOPHIL.30.1.8
UCI I410-ECN-0102-2021-100-000340939

‘경(敬)’과 ‘의(義)’는 유가의 수양론에서 수양하는 주체의 내면과 외면에 관계하는 개념이다. 이것이 사회적인 실천의 영역으로 확장되면 ‘수기치인’이라는 말로 설명되기도 한다. 그런데 조식(曺植)은 이 두 개념을 합치하여 ‘경의’라는 말로 표현하였다. 이것은 『주역』의 ‘경으로써 의를 곧게 한다’와 ‘의로써 밖을 방정하게 한다’를 ‘내명자경’과 ‘외단자의’로 바꿔 쓰면서 두 개념을 합치하여 사용한 것이다. 그래서 조식의 경의설은 ‘안’과 ‘밖’을 설정하고 안으로 자기수양[敬]과 밖으로 사회적 실천[義]이 서로 유기적인 영향을 주고받는 것을 이상적인 수양과 실천의 조합으로 본다. 조식은 수양하는 개인의 마음상태를 표현한 「신명사도」라는 그림을 그렸다. 한 나라의 테두리를 상징하는 도성과 왕의 거처를 상징하는 ‘신명사’, 그리고 그 도성을 지키는 군사력 및 조정을 구성하는 여러 요소들을 그림에 배치시키면서 인간의 마음을 수양하는 것이 일국을 보존하고 존속시키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입장을 나타낸다. 조식은 수양에서 목표로 하는 궁극적 단계를 성(誠)으로 보는데, 「신명사도」에서 현실의 왕과 동일한 ‘태일군(太一君)’이라는 궁극의 상태가 그것이다. 이 때가 이른바 내성외왕(內聖外王)으로 이상적인 군주의 상태이다. 그런데 「신명사도」에서 조식의 안과 밖에 대한 이해는 몇 번의 변화를 거친다. 최초의 상태는 수양하는 개인의 입장에서 지켜야할 안과 척결해야 할 밖으로 설정되고 이것이 국가적 영역으로 확장되면 성(誠)을 경험한 주체는 한 나라를 지키는 군주의 위치에서 바깥의 외적에 대한 방비를 한다. 그러나 왕도정치와 국가와 민생을 위한 통치가 불가능하게 되면 이 구도는 무너지고 그 자리는 조식과 같은 선비 도학자들이 대신한다. 그것이 임진왜란 시 활약한 남명학파 문도 57명의 의병이다.

Gyeong(敬) and Ui(義) are the ideas related to human's inside and outside of mind and the human is cultivating agent with Cho Shik’s theory of Cultivation of confucianism. It is often described as 'Self-Cultivation and the Ordering of Society(修己治人)' if it extends into the category of social practice. However, Nammyeong Cho Shik combined these two ideas and expressed them with the word 'Gyeong-ui(敬義 ; Reverence -Righteousness)', which is referred to as the academic essence of Cho Shik. This word was used to combine with the two ideas ; 'Gyeong is explore the mind on the inner side (內明者敬)' and ‘Ui is deciding an act on the outer side(外斷者義)’ : 'Do Ui(義) rightly by doing Gyeong(敬)' and 'Do hold to the highest moral standard by doing Ui(義)'. Thus, Cho Shik’s 'Gyeong-ui(敬義)' theory is regarded as the combination of an ideal cultivation and practice by exchanging mutual impact organically between self-cultivation on the inner side and social practice on the outer side with a mind dividing ‘inside and outside.' Cho Shik drawn 「Shinmyeongsado(神明舍圖 ; the diagram about house of mind)」 that described an individual's state of mind. ‘Shinmyeongsa’ symbolized a king's residence and a castle town representing a country’s border. And it show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cultivating the human’s mind and preserving and sustaining a nation’s authority, placing plenty of elements that form its military power and ministry in his picture. Cho shik defined Seong (誠;sincerity) is a ultimate level in cultivating as a goal. 「Shinmyeongsado」 shows the King Taeil symbolized as a real king is in the ultimate level. This means being an ideal monarch and it is so-called 'Being Sage Inside Being Kingly Outside(內聖外王)'. In 「Shinmyeongsado」, however, Cho Shik’s understanding about the inside and outside went through changes a few times. In the initial theory, the mind of individual is set up inner side to be defended and the outer side to be excluded. If the theory is applied to the nation’s system, the individual as a monarch who had already experienced with Seong(誠;sincerity) will prepare for foreign attacks. However, if Benevolent Royal Government(王道政治) is not for people and country, the system will collapse. And scholars like Cho shik will undertake king’s duty instead of him. Those were fifty seven unofficial soldiers from the Nammyung School, which was active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1. 조식 ‘경의(敬義)’설의 특징
2. ‘안’의 수양과 실천력의 근원 ‘성(誠)’
3. ‘밖’으로의 실천과 ‘경의(敬義)’
4. 안·밖의 확장 : 개인 수양에서 국(國)공동체에 대한 논의로
5. 나가며 : 안·밖의 이해와 현실주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