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12.222
18.118.12.222
close menu
KCI 등재
물리공간의 지리학에서 가상공간의 지리학으로: 정보통신지리학과 가상지리학의 연구동향과 가능성
From the Geography of Physical Space to the Geography of Virtual Space: Current and Future Research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Geography and Virtual Geography
김영롱 ( Young-long Kim )
UCI I410-ECN-0102-2019-300-001117337

본 논문은 지리학자들이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논의의 폭을 현실공간으로 가상공간으로 넓혀왔던 연구 흐름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제지리학의 새로운 연구 주제 발굴을 위한 이론 및 방법론을 모색하고자 한다. 정보통신지리학은 2000년을 전후하여 유선 인터넷 기반시설의 지리적 분석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연구되었으나, 무선인터넷 시대에 들어 그 전통이 충분히 계승되지 못하였다. 가상지리학 연구는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이 서로를 어떻게 확장, 재생산 또는 제약할 수 있는지에 대해 밝혀왔지만, 그 구체적인 정도에 대한 실증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이에 대하여 본 논문은 가상공간의 지리적 물리성을 실증적으로 밝히기 위한 도구로 정보통신지리학과 가상지리학의 결합이 유용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를 통해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21세기의 경제 공간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정보통신지리학과 가상지리학의 실증 연구들이 데이터결정론 및 기술결정론으로 비판받을 수 있음을 주지하며,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경제지리학이 나아갈 길을 제시한다.

This paper reviews how geographers have embraced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expanded their perspectives from real space to virtual spac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geography research on the wired internet infrastructure began in the late 1990s, but the tradition has not been succeeded for th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While the relationship―expansion, reproduction, and constraint―between real and virtual spaces have been studied by virtual geography scholars, we need more empirical research to reveal to what extent the two spaces impact to each other.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physicality of the virtual, it will be useful to combin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geography and virtual geography.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empirical studies in the subfields can be criticized as being data- or technological deterministic.

1. 머리말
2. 물리공간에서 가상공간으로의 접속: 정보통신지리학
3. 물리공간과 가상공간의 관계: 가상지리학
4. 가상지리학 실증연구에 정보통신지리학의 적용
5. 비판적 검토
6.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