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2.249.158
3.22.249.158
close menu
KCI 등재
투표소 접근의 형평성과 효율성 향상을 위한 공간 최적화 모형
Spatial Optimization Models for Improving Efficiency and Equity of Polling Station Access
김감영 ( Kamyoung Kim )
DOI 10.21189/JKUGS.22.1.1
UCI I410-ECN-0102-2019-300-001136907

투표소에 대한 접근성 향상은 유권자들의 투표 참여에 보다 균등한 기회를 부여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투표소에 대한 전반적인 접근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유권자들에게 투표소 접근에서 보다 공평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공간 최적화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 최적화 접근을 통하여 기존 투표구 체계보다 접근성 측면에서 효율성과 형평성 모두를 향상시킬 수 있는 투표소의 입지 선정이 가능하였다. 둘째, 투표구 구획 측면에서 보면 CVPCP(capacitated vertex p-center problem)보다는 CPMP(capacitated p-median problem)가 적합하였다. 투표소별 수요 할당이 CVPCP에서는 공간적으로 불연속적인 반면, CPMP에서는 공간적으로 구분되었다. 셋째, 투표소 사이의 업무 균형뿐만 아니라 투표소 접근의 효율성과 형평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개별 가구의 주소와 같은 보다 상세 수준에서 투표소의 입지 및 투표구의 구획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공간 최적화 기법을 통하여 선거 행정에서의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Improving the accessibility to polling stations is important in terms of giving voters more equal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vo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patial optimization models that not only improves overall access to polling stations, but also provides voters with more equitable opportunities in polling stations acces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spatial optimization approaches, it was possible to site polling stations that could improve both efficiency and equity in accessibility. Second, from the perspective of delineating precincts, CPMP (capacitated p-median problem) is more suitable than CVPCP (capacitated vertex p-center problem). Demand allocations by polling stations are spatially discontinuous in CVPCP, whereas in CPMP they are spatially separated. Third,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equity of the polling stations access as well as the workload balance between polling stations, it is necessary to site polling stations and delineate precincts at more detailed spatial levels such as the addresses of individual household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spatial optimization approach can support decision making in election administration.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선행연구 고찰
3. 투표소 입지를 위한 공간 최적화 모형
4. 수요와 투표소 후보지 재현
5. 투표소 입지 선정 및 할당 결과
6. 요약 및 결론
文 獻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