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9.31.73
3.19.31.73
close menu
KCI 등재
자살과 살인 사이-1920년대 소설과 폭력의 새벽-
Between Suicide and Murder-Representation of Violence/Gewalt in the 1920s Fiction-
이경림 ( Lee Kyung-rim )
반교어문연구 51권 15-48(34pages)
UCI I410-ECN-0102-2019-800-001640029

이 글은 1920년대 소설에 나타난 폭력의 변용 양상과 그 의의를 고찰한다. 1910년대 소설에 이르기까지 폭력은 근대국가(=제국)이 해석을 독점한 표상으로 존재했다. 낭만주의 문학의 폭력 표상의 의의는 이 독점적 해석에서 벗어나 폭력을 개인의 정당한 힘으로 되돌려 준 데서 찾을 수 있다. 낭만주의적 폭력의 전형은 나도향 소설에서 찾아 볼 수 있다. 낭만주의적 폭력은 <주어진 현실을 견디지 않겠다>는 주체의 의지가 표명된 결과로, 그 근원은 ‘비애’에서 찾아볼 수 있다. ‘비애’는 현실과 이상의 괴리, 이상의 도달불가능성에 대한 인지,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실에 순응하지 않겠다는 주체의 의지 등의 조건으로 구조화된 감정이다. 비애에서 비롯하는 낭만주의적 폭력 형상은 주체 자신도 통제하기 힘든 과격한 에너지의 분출로서 바이오런스(violence)의 특징을 강하게 드러낸다. 낭만주의적 폭력이 폭력을 국가로부터 개인에게 돌려보냈다면, 사회주의적 폭력은 개인의 폭력을 집단(계급)의 폭력으로 회수하면서 구성되었다. 낭만주의적 폭력의 사회주의적 회수라는 맥락에서 신경향파 소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신경향파 소설의 폭력 표상에서는 낭만주의적 폭력에 두드러졌던 바이오런스적 특징들이 사라지고, 대신 ‘투쟁’의 상징체계가 자리 잡아가는 과정을 볼 수 있다. 미래를 건설하는 도구, 혁명의 자원으로서 부적합했던 낭만주의적 자질들이 소거된 대신, 사회주의적 미래에 대한 주체의 신념과 의지가 이 폭력의 변용에 개입한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metamorphosis of violence in 1920s fictions and its significance. Until 1910s fictions, representation of violence was strictly guided by pre-modern convention, the nation-state and the Japan empire. The representation of violence in 1920s romantic literature has deviated from the state's exclusive interpretation of violence, and returned it to the individual's justifiable power. A typical example of romantic representation of violence can be found in Na Dohyang's fictions. Romantic representation of violence highlights the subject's will to not conform to the given reality. It originates from biae[悲哀, grief], which is typical emotion in 1920s Korean romanticism. The structure of Biae contains a perception of a gap between reality and ideals, a recognition that the subject cannot reach the ideals, nonetheless, the subject's will to resist to the given reality. Romantic representation of violence is typically depicted as a violent outburst of energy that the subject cannot control, which reveals the strong characteristics of the 'violence'. If romantic representation of violence reinstated violence from the Japan empire to the individual, socialistic representation of violence collects individuals' violence into the proletariat's. The socialistic style of collecting individuals' violence is well illustrated in Singyeonghyangpa fictions. In the representation of violence in Singyeonghyangpa fictions, typical 'violence' characteristics that were prominent in romantic representation of it disappear, and instead, the symbolic system of 'fighting' is taking shape. As tools to build the future, the romantic qualities that were unsuitable for the revolution are wiped out, and instead, the subject's faith and will towards the socialistic ideal future intervene in the transformation of violence.

1. 폭력의 전사(前史)
2. 낭만주의적 폭력의 근원: 비애
3. 낭만주의적 폭력의 효과: 폭력의 귀환
4. 낭만주의적 폭력의 사회주의적 회수
5. 맺으며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