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1.31.240
3.141.31.240
close menu
KCI 등재
평생교육으로서의 고급 한국어교육 방안 모색-중·고급 수준 성인 이주 학습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Advanced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me for long-term migrants as part of Lifelong Education
정하라 ( Jeong Ha-ra )
반교어문연구 51권 49-79(31pages)
UCI I410-ECN-0102-2019-800-001639968

이 연구는 한국에 장기간, 혹은 영구 거주하는 중·고급 수준의 한국어 능력을 갖춘 성인 이주자를 위해 평생교육 차원에서 고급 한국어교육이 필요하다고 보고, 그 방안으로 문학 작품을 통한 자기 성찰적 쓰기 활동을 제안하였다. 지금까지 성인 이주자를 위한 한국어교육은 이주 초기나 적응기 이주자를 우선 고려하여 초·중급 수준의 교육에 중점을 두어 왔다. 그러나 10년 이상 장기 거주하는 이주자와 언어 능력 부족 및 사회적 고립감을 느끼는 이주자가 증가하고 있음을 고려하면 성인 이주자를 위한 한국어교육 체계와 방향성에 변화가 필요하다. 의사소통이 가능한 수준을 목표로 언어 기능에 초점을 맞춘 한국어 교육만으로는 언어적 존재로서 자신을 표현하고 사회 활동을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고급 한국어 능력을 갖추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이 연구는 이주 초기 및 적응 단계에 편중된 한국어교육의 현 지원 체계와 정책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후 평생교육으로서의 고급 한국어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비판적 성찰을 통한 관점 전환과 개인적, 사회적 차원의 주체성 회복이라는 고급 한국어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교육 방안으로 문학 작품을 읽고 상호소통하며 자신과 사회에 대해 새롭게 인식한 바를 쓰는 자기 성찰적 쓰기 활동을 제안하였다. 비록 시론 수준이지만 지금까지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한 성인 이주자를 위한 고급 한국어교육의 필요성과 실현을 위한 한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데 이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한 교육적 실행은 후속 연구를 통해 이어가고자 한다.

Recognizing a need for advanced Korean education as part of lifelong education for adult migrants that have lived in South Korea for many years or permanently and have intermediate/advanced korean language abilities, this study proposed reading korean literary works and introspective writing activities. Korean education for adult migrants has so far focused on the elementary and intermediate level by taking into first consideration migrants in early days of migration or at the adjustment stage. Given the rising number of migrants that have long residence in South Korea for ten years or longer or feel lack of language skills and social isolation, however, there is a need to change the system and directionality of korean education for adult migrants. It is difficult to develop advanced Korean skills required to express oneself as a linguistic being and perform social activities only with current education with a focus on linguistic functions to achieve the level of communication. This study thus reviewed critically the current support system and policies of Korean education heavily inclined toward the early stage of migration and the adjustment stage and raised a need for advanced Korean education as part of lifelong education. After proposing the directionality of advanced Korean education such as shifting the perspective through critical reflection and recovering independence at the individual and social level, the study proposed an activity of reading Korean literary works and introspective writhing, communication with others and writing what one had realized anew about oneself and the society as an educational programme to practice it. Even though this study was at the level of experimental inquiry, it claims its significance by investigating the need and possibilities of advanced Korean education for adult migrants that had received relatively less attention. Follow-up study will cover educational practice based on these discussions.

1. 서론
2. 논의의 배경
3. 성인 이주자를 위한 고급 한국어교육의 다각화
4. 나가며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