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2.115.179
18.222.115.179
close menu
교육봉사활동 운영의 개선 방안 탐색
Reflecting on Service Learning in Teacher Education
윤소희 ( Yoon So Hee )
UCI I410-ECN-0102-2019-300-001110878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09년 이후 교사양성기관에서 시행되고 있는 교육봉사활동에 대한 문제점을 진단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논의에 대한 이론적 근거로서 봉사학습에 대해 알아보고 수행 과정과 필수요인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봉사학습의 수행과정을 준비, 실행, 성찰, 실연으로 나눈 후, 각 단계에서의 특징과 내용을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이와 함께 봉사학습의 여섯 가지 필수요인인 통합 학습, 지역사회의 실질적 요구 충족, 참여자들의 의견과 선택, 협동성, 상호 의존 관계, 민주시민으로서의 책임감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또한 예비 교사 교육과 관련하여 봉사학습의 효과를 분석한 선행연구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후 현행 교육봉사활동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앞서 고찰한 봉사학습의 구체적인 내용과 비교함으로서 일곱 가지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봉사활동 분야에서 수행될 수 있는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flect on the 'Service Learning in Teacher Education' course which was required for a teaching certificate in Korea since 2009. This study was also designed to find and offer solutions to make the course successful and to realize its original purposes. Before analyzing the course, the researcher investigated four stages and eight essential elements of Service Learning: four stages refer to preparation, action, reflection, and demonstration and eight elements include integrated learning, meeting genuine needs, youth voice and choice, collaborative efforts, reciprocity, and civic responsibility. Included is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service learning by pre-service teachers to find its effects in their teaching and learning as future educators. Combining the investigation of this study with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seven ways to improve the current course of service learning in teacher education are discussed. At the end of this paper are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to improve in service learning for pre-service teachers.

I. 서론
Ⅱ. 봉사학습 고찰
Ⅲ. 현행 교육봉사활동에 대한 분석
Ⅳ. 현행 교육봉사활동의 개선 방안
Ⅳ.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