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8.174.174
3.138.174.174
close menu
KCI 등재
일제강점기 문학에 고지(告知)된 ‘철거명령’
‘Demolition Order’ Notifications Appearing in Korean Literature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박정희 ( Park Jung-hee )
인문논총 76권 2호 237-269(33pages)
UCI I410-ECN-0101-2019-000-001003802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의 도시계획에 따른 ‘빈민철거’ 문제에 대한 문학의 대응과 그 의미를 고찰했다. 1930년대 중후반 경성시가지계획의 확정과 그 추진은 이전의 간헐적으로 이루어지던 수준을 넘어 대대적인 빈민철거를 야기했으며 사회적인 문제가 되었다. 식민권력은 시가지의 확장과 도시정화를 통해 ‘대경성’을 구축하고자 토막민들에게 ‘철거명령장’을 고지했다. 법질서에 의한 철거명령은 토막민들을 추방과 배제를 통해 ‘벌거벗은 생명’으로 내몰았다. 토막민들은 ‘공식적 철거명령’에 저항해 ‘진정서’를 내거나 시위를 하지만 ‘토지 불법 점유자’인 까닭에 철거를 막을 수는 없었다. 일제강점기 도시 빈민의 삶을 다룬 문학 작품 가운데 ‘철거’ 문제를 작품의 주제로 하거나 이 문제에 천착한 작품을 확인하기란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 주목한 작품들은 경성의 도시화에 따른 대대적인 ‘빈민철거’의 문제를 형상화하고 있다. 이 시기 문학에 고지된 ‘철거명령’은 토막민들의 궁핍한 삶에 대한 고발이나 집단적 저항의 문제를 다루는 차원을 넘어서는 지점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특히 토막촌에 고지된 ‘철거명령’의 상황을 지식인의 ‘이념철거’의 알레고리적 상황으로 형상화한 염상섭의 「불똥」(1934)과 송영의 『이 봄이 가기 전에』(1937)는 이 시기 ‘철거명령’에 대한 문학적 성과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품이라 평가할 만하다. 그리고 「여름」(1940)은 식민권력의 ‘병참기지로서의 도시 건설’과 ‘철거명령’이 결합된 폭력성의 맨얼굴을 징후적으로 포착하고 있으며, 「군맹」(1940)은 철거민의 불안 심리를 이용하여 개인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인물의 몰락을 통해 ‘벌거벗은 생명’의 출구 없음을 형상화하고 있다. 이 연구는 그간 다루어진 바 없는 일제강점기의 문학과 철거의 문제를 최초로 다루었다. 식민지 근대성이나 도시화의 보편적인 문제로 환원할 수 없는 식민지 주거철거의 특수성을 문학의 차원에서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현대문학사에서 ‘철거와 문학’이라는 주제에 대한 관심이 더 촉발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considers how literary works responded to the ‘demolition of the poor’ according to city planning near the end of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zation and what they meant. Confirmation and advancement of town planning in Gyengseong in the middle and late 1930s led to the massive demolition of the poor, which went beyond the previous intermittent level, and became a social problem. The colonial authority notified shanty town inhabitants of ‘demolition orders’ in order to build ‘Great Gyeongseong’ by widening up the area and cleaning up the city. The inhabitants were forced out to be ‘la nuda vita’ by the demolition order, via deportation and exclusion. They resisted the ‘official demolition orders’ by submitting ‘petitions’ and by holding demonstrations, but they could not stop the demolition since they were ‘illegal occupants’. Among literary works dealing with the life of the poor in a colonial city, it is not easy to identify works that either focus on or inquire into the ‘demolition’ problem. The central subject of the works that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is the massive ‘demolition of the poor’ due to the urban- ization of Gyeongseong at the end of Japanese colonization era. ‘Demolition order’ notifications appearing in literature at this time make a point beyond revealing the shanty town inhabitants’ lives in poverty or dealing with collective resistance. Before This Spring is Over (1937), which approaches the ‘demolition order’ situation of the shanty towns as an allegory situation of the intellectual’s ‘ideology demolition’, is particularly a representative work that demonstrates the literary developments that came out of the ‘demolition orders’ of this period. In addition, Summer (1940) symptomatically captures the violence which emerged out of the combination of the ’construction of the city as a logistics base’ and ‘demolition orders’, and Foolish People (1940) symbolizes exitlessness of ‘the naked life’ through the fall of characters who maximize personal gains using the displaced people’s anxiety. This is the first study to have covered the demolition problem and literary work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dealing with this issue. It is a meaningful investigation of the distinctiveness of the demolition of colonial housing that could not be turned into a universal problem of colonial modernity or urbanization at the literary level. It is expected that interest in ‘demolition and literature’ will be increased in relation to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as a result of this study.

1. 서론
2. 경성시가지계획과 토막 철거
3. ‘철거명령’의 다른 이름, ‘사상철거’
4. ‘철거명령’의 맨얼굴: 폭력과 불안
5. 결론을 대신하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