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7.174.216
3.137.174.216
close menu
KCI 등재
종교적 인공지능 시뮬레이션 ― 스타크-베인브릿지와 뒤르켐의 종교적 인지 모형 비교연구
Artificial Religious Intelligence Simulation: Comparative Study of the Stark-Bainbridge Model and Durkheimian Model of Religious Cognition
박욱주 ( Park Wook Joo )
인문논총 76권 2호 271-312(42pages)
UCI I410-ECN-0101-2019-000-001003751

오늘날 제기되고 있는 인공지능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물음들 가운데는 인간의 종교성과 관련된 물음이 속해 있다. “과연 인공지능은 종교적 신앙을 재현할 수 있는가?” 본 연구는 종교사회학자이자 인지과학자인 윌리엄 심스 베인브릿지(William Sims Bainbridge)가 인간의 종교성과 초자연자에 대한 신앙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2006년경 이행한 기계학습 실험을 주요 탐구사례로 선정한다. 그리고 해당 실험에 반영된 인간의 종교성과 신앙에 대한 사회인지 이론, 이를 기계학습 시뮬레이션으로 현실화하기 위해 기획된 시나리오, 실험에 활용된 일부 수학적-통계적 기법과 그 원리에 대한 종교학적 고찰과 반성을 수행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스타크-베인브릿지와 뒤르켐의 종교론과 종교적 인지 모형을 비교해 고찰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린다. 양측 간 다소 중대한 이견들이 존재하긴 해도, 베인브릿지의 인공지능 시뮬레이션에 반영된 스타크-베인브릿지 종교론의 통찰들은 뒤르켐의 종교학 방법론 관점으로 볼 때 상당부분 타당성을 가진 것으로 인정될 가능성이 높다. 무엇보다 원초적 종교성의 발원지를 사회로부터, 지속적으로 수행되는 사회적 행위로부터 찾고, 이를 종교적 인지의 범주적 준거로 전환하는 방식을 통해 인간의 종교적 본성을 탐구한다는 점에서 양측은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One of the important contemporary questions about the possibilities and limi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s concerned with human religiosity. “Can artificial intelligence simulate religious faith?”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implications of a machine learning experiment of William Sims Bainbridge, an outstanding researcher in the field of the sociology of religion and cognitive science. He attempted to simulate human religiosity and faith in supernatural beings in 2006. The focus is on three factors: his social cognitive theory to explain human religiosity and faith, a scenario for the actualization of this theory, and a mathematical-statistical strategy and its principles applied to experiment. In this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tark-Bainbridge model of religion and religious cognition and that of Durkheim, it is demonstrated that the insights of Stark and Bainbridge found in Bainbridge’s artificial intelligence simulation would likely be acknowledged as vali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urkheimian methodology of religious studies, despite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Most importantly, it seems certain that what Stark-Bainbridge and the Durkheimian model of religious cognition have in common is that they locate the origin of primitive religiosity in society, in continuous social processes. It also seems certain that they both translate the social processes into the categorizing norms of religious cognition so as to illuminate the religious nature of human kind.

1. 들어가는 말
2. 자기보존본능과 자원교환행위: 종교성 현성의 개인적-사회적 조건
3. 개인적 욕망과 사회적 기능: 종교적 인지를 위한 범주들의 기원
4. 나오는 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