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5.190.101
3.135.190.101
close menu
KCI 등재
저출산 시대의 개인화 경향과 교육문제: 울리히 벡의 개인화 관점을 중심으로
Personalization Trends and Educational Problems in the Low Fertility Age: Focused on Ulrich Beck's Personalization Perspective
임광국 ( Yim Gwang Guk )
UCI I410-ECN-0102-2019-300-001110378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가족이데올로기의 이율배반적 성격과 벡의 개인화 개념을 통해 한국사회의 저출산 현상과 교육의 변화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사회의 저출산 현상과 가족의 변화양상에 대해 가족이데올로기의 이율배반을 중심으로 논의하고, 제도화된 개인의 관점에서 저출산 현상의 다양한 사회적 원인들에 대하여 논의했다. 또한 우리사회의 개인화와 가족의 변화, 그리고 이에 연유하는 교육의 질적 변화에 대해서도 검토했다. 한국사회가 통상적으로 전제하는 정상가족의 형태는 근대 서구 시민사회의 가족형태, 그리고 이를 이념적으로 뒷받침 하는 가족이데올로기에 의해 구성되고 정당화되는 것이다. 가족 내에서 남녀 간의 불평등한 관계를 규정하는 가족이데올로기의 이율배반적 성격은 근대의 자기파괴 동인으로서 ‘성찰적 근대화’를 진전시킨다. 여성들의 사회 참여와 생산기술의 비약적 발달은 노동시장을 근본적으로 재편하기 시작했고, 자본들은 과거보다 유연하고 탈계급화된 노동력을 요구하게 되었다. 탈계급, 탈가족화된 개인은 전통적 관계성을 상실한 채로 사회에서의 자립을 위해서 ‘시장화된 개인’으로 변화할 수밖에 없었다. 이렇게 타율적인 개인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벡은 ‘제도적 개인화’로 개념화한다. 오늘날의 자녀는 부모에게 일종의 ‘심리적 효용성’으로서 그들의 정서적 욕구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그에 따라 자녀교육은 그 전시대의 가족들이 기대했던 가족의 사회적·경제적 지위를 보장과 더불어 미래의 보상을 위한 투자의 개념이 아니라 자녀들이 미래에 직면할지도 모를 여러 사회적 위험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의 기획이자 ‘제도적 개인’으로서 부모가 할 수 있는 자녀에 대한 강렬한 애정의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오늘날 한국사회의 교육열은 현존하는 위험사회로부터 자녀를 보호하기 위한 부모의 정서적 동기에 근거하는 바가 크다. 이러한 관점을 놓고 볼 때 한국의 저출산 현상은 가족유형의 변화와 더불어 촉발된 부모-자녀 관계의 급진적 심리화가 중대한 원인을 제공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on the problem of low fertility in Korean society through the contradiction of family ideology and Ulrich Beck's personalization concept. For this purpose, we discussed the paradox of the family ideology about the problem of low fertility in our society and the change of family, and discussed the various social causes of the low fertility problem from the viewpoint of the institutionalized individual. And personalization of Korean society, and the quality of education due to family changes. The normal family that Korean society presupposes is justified by the family ideology of modern Europe. The paradox of family ideology that defines unequal relations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family advances 'Reflective Modernization'. The social participation of women and the development of production technology have changed the labor market, and companies have demanded a more flexible and de-classified labor force in the past. The de-classified, de-familyized individuals lost their traditional relationships and were forced to change into 'ultimate market players' for self-reliance in society. The degenerate and degenerated individuals lost their traditional relationships and were forced to change into marketed individuals for self - reliance in society. Beck conceptualizes the process of heteronomic personalization as 'Institutional Personalization'. Today's children are closely connected to their emotional needs as a kind of 'psychological utility' to their parents. Accordingly, education for children is not a concept of investment for future compensation as well as guaranteeing the social and 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expected by the family in the exhibition hall. It is a strategic plan for personalized parents to respond to the dangers of their children and is a strong expression of affection for their children. Today, the heat of education in Korean society is based on parents' emotional motivation to protect their children from the existing dangerous society. From this point of view, Korea 's low birth rate problem is a major cause of the radical psychologicalization of parent - child relationship with the change of family type.

I. 서론
II. 저출산 현상과 ‘정상가족’ 이데올로기
III. ‘제도적 개인화’와 한국사회
IV. 저출산 시대 ‘가족’의 혼란과 교육문제
V.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