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238.242.168
34.238.242.168
close menu
KCI 등재
이모티콘 이해 및 표현에 관한 연구: 지적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A Study on Emoticon Understanding and Expressive Ability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김화수 ( Kim Wha-soo ) , 이지우 ( Lee Ji-woo ) , 김소정 ( Kim So-jung ) , 김한얼 ( Kim Han-eul ) , 신수연 ( Sin Su-eun ) , 이아영 ( Lee A-young )
DOI 10.35361/KJID.21.2.1
UCI I410-ECN-0102-2019-300-001131306

본 연구는 지적장애 성인의 이모티콘의 이해 능력 및 표현 능력을 통해 지적장애인의 의사소통 능력 지원과 사회관계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자는 지적장애 성인 15명, 지적장애 성인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5명(초등 4-6학년), 지적장애 성인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성인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대상자들에게 이모티콘 사용과 관련되는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이모티콘 이해 검사와 이모티콘 표현 검사를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이모티콘 이해 검사 및 표현 검사는 감정의 4가지 유형 (희·로·애·락)에 대해서 각각 5문항씩 전체 2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이모티콘의 형태는 한글을 사용한 이모티콘과 얼굴표정 이모티콘 그리고 캐릭터 이모티콘을 같은 비율로 검사 문항을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설문조사 결과 이모티콘은 감정표현을 하기 위한 의사표현을 하기 위해 사용한다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또한 친구와 이모티콘을 가장 많이 사용하며, 기쁘고 즐거울 때 이모티콘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모티콘 이해 검사 결과, 지적장애 성인 집단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집단, 그리고 지적장애 성인집단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성인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령별로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지적장애 집단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이모티콘 이해 능력이 증가하는 반면, 일반아동과 일반성인 집단은 연령별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문항별 정반응률 검사 결과, 지적장애 성인 집단은 슬픔의 감정에서 오반응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이모티콘 표현 검사 결과, 지적장애 집단과 일반아동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연령별 이모티콘 표현 검사 결과, 지적장애 집단은 이모티콘 표현 능력에 있어서 언어연령 10세와 11세 평균의 차이는 없지만 12세가 되면 평균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아동 집단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문항별 정반응률 검사 결과, 4가지 감정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적장애인들이 친구와의 대화 상황에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화용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모티콘을 더 적극적으로 지도할 필요성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Emoticon comprehension and expressive ability among intellectual disability adults with language age of 10 ∼ 12 year, general-children with normal language age, and general-adults with normal language a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15 normal childr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rade 4-6) who matched the language age with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15 general-adults with non-intellectual disability. The research method was conducted by questionnaires related to the use of Emoticons. And then the emoticon understanding test and Emoticon expression test were performed separately. Understanding emoticon test and Expression test consisted of 20 questions in total of 5 items for each of the four types of emotions (happy, anger, sadness, pleasure). And the test items were composed by korean-text Emoticons, facial Emoticons, and character Emoticons. First, the survey results have the highest percentage of Emoticons used to represent conversations. The most popular Emoticons were 'happiness' and 'joy', and they send Emoticons to friend the most. Second, emoticon understanding tes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dult group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general-adult group, and general-children group.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s among groups by age, the age increases, the intellectual disability group increases the understanding ability of Emoticon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l-children and adult groups. Result of correct answer rate per question, adult group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howed high error rate in ‘sadness’. As a result of age - based emoticon te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ean language age between 10 and 11 years of age in the intellectual disability group with language age of 10 ∼ 12 year, but the average increased at 12 years of age. These results were the same in the general-children group. According to a result of the test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four emo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more actively instruct the use of Emoticons to improve the conversational and communication skills of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