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202.167
3.144.202.167
close menu
KCI 등재
일반 유아 및 초등학생의 사회적 기술 증진을 위한 실험연구 분석
A Review of Experimental Research on Social Skills Interventions of Young Children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이성용 ( Yi Seong-yong ) , 김진호 ( Kim Jin-ho )
DOI 10.35361/KJID.21.2.2
UCI I410-ECN-0102-2019-300-001131295

본 연구는 일반 유아 및 초등학생의 사회적 기술 증진을 위해 중재를 적용한 국내 실험연구를 분석함으로써, 선행 연구들의 중재 효과를 살펴보고 앞으로 일반 유아 및 초등학생을 위한 사회적 기술 증진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데 있어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1998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사회적 기술 관련 학술연구 25편(유아14편, 초등 11편)을 체계적으로 수집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25편의 선행연구는 9가지 분석변인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변인은 연구대상, 실험환경, 실험설계, 목표기술, 측정도구, 중재방법, 중재기법 및 전략, 연구결과, 효과크기다. 주요 연구결과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은 일반 유아 만 5세가 많았다. 둘째, 실험환경은 유치원과 학교와 같은 교육기관에서 연구되었다. 셋째, 실험설계는 집단설계연구의 사전-사후 비교(통제)집단 설계를 활용하였다. 넷째, 목표기술은 사회적 기술뿐만 아니라 추가 목표기술도 설정하였다. 다섯째, 측정도구는 SSRS를 대부분 사용하였다. 여섯째, 중재방법은 유아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초등학생은 모두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일곱째, 중재기법은 언어적 기법이 다수 활용되었다. 여덟째, 연구결과 중재는 사회적 기술을 증진시켰다. 아홉째, 효과크기는 유아의 경우 대부분 큰 효과를 나타냈고, 초등학생의 경우 다양하게(작은~큰 효과)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유아 및 초등학생의 사회적 기술 증진 관련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experimental research literature of social skills interventions of young children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provide information and suggestions on social skills interven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s. A systematic search of the literature from 1998 to 2018 revealed 25 experimental studies published in South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25 selected studies in terms of 9 analytical variables(participants, research settings, experimental design, target skills, tools of measurement, types of intervention, strategies of intervention, effects of intervention, effects size). The finding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participants of the studies conducted in preschool settings were five years old young children in general. Second, research settings of the experimental studies were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Third, the experimental design of the studies was the pre-post comparison(control) group design. Fourth, target skills were established not only for social skills but also for additional target skills. Fifth, most studies used SSRS as a measuring tool. Sixth, as the type of intervention, various programs were conducted for young children in preschool settings, and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s were used for all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venth, most reviewed studies used linguistic techniques as strategies of intervention. Eighth, intervention programs of the studies have enhanced social skills of most participants. Ninth, effect size was mostly large for young children, and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 were various effect sizes(small to large effect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on social skills interventions were presented.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