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3.156.156
3.133.156.156
close menu
KCI 등재
국어교육 철학의 흐름과 미래 전망
The Trends and Futur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hilosophy
천경록 ( Cheon Gyeongrok )
UCI I410-ECN-0102-2019-700-001659976

이 연구에서는 국어교육 철학의 흐름을 근대와 탈근대(포스트모더니즘)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근대적 국어교육은 개화기(1895년)에 시작되었으며 3차 교육과정(1973년~)까지는 국민정신 형성에 주력하였다. 이는 공동체주의에 기반한 국가주의에 해당한다. 4차 교육과정(1981년~)부터는 지식과 기능을 중시하는 주지주의로 선회하였다. 6차 교육과정(1992년~) 이래로 주지주의를 극복하려는 탈근대 시도가 나타났다. 국어 문화론, 구성주의, 신문식성들 등이 그러하지만 이들이 주지주의를 대체하지는 못하였다. 미래 사회에서도 기능적 문식성은 항존성, 토대성, 매개성으로 인해 여전히 중시될 것이다. 다원화되는 미래사회에서 국어교육은 국민보다 시민에 좀 더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배경 철학을 공동체적 자유주의에서 찾을 수 있다.

Modern Korean language education(KLE) began in the period of enlightenment(from 1895) and, until the 3rd national curriculum(from 1973~) focused on the formation of the national spirit, which is equal to nationalism based on communitarianism. However, the 4th curriculum(from 1981~) reflected a turn toward intellectualism, as content changed to focus on knowledge and skill. Postmodernism in KLE emerged after 6th curriculum(from 1992~). This includes cultural theory, constructivism, and New Literacies, but these could not replace intellectualism. In the future, traditional functional literacy will still be valued. Considering the pluralistic society of future, we should note citizens not people, and engage in communautaire liberalism.

I. 서론
II. 논의의 전제
III. 근대적 국어교육의 철학
IV. 탈근대 현상과 미래 전망
V.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