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3.109.211
3.133.109.211
close menu
KCI 등재
1990년대 이은혜 순정만화와 여성 대중문화의 문화적 전환
Lee Eun-hye and the 1990’s cultural turn in Romance Comics
허윤 ( Heo Yoon )
국제어문 81권 353-379(27pages)
DOI 10.31147/IALL.81.13
UCI I410-ECN-0102-2019-800-001646809

< 점프트리 A+ >, < BLUE >의 만화가 이은혜는 아름다운 일러스트와 감성적인 내레이션을 통해 1990년대를 대표하는 자신만의 세계를 완성했다. 일러스트를 활용한 미디어 믹스 상품이나 출판만화의 O.S.T., 일러스트 화보집까지, 이은혜는 미디어를 자유자재로 활용하면서 대중적으로 인정받기도 했다. 댄스 가수, 모델에서부터 락밴드 보컬에 이르기까지 이은혜는 1990년대 발전하기 시작한 문화산업을 만화로 재현하였으며, 고등학생이나 대학생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현실감있는 이야기를 통해 팬덤을 끌어모았다. 같은 세대 작가들이 SF, 판타지 등의 서사를 실험하고 있을 때, 이은혜는 일상을 중심으로 직조한 사랑을 탐색하였다. 어릴 적부터 함께 성장한 친구라든가 고등학교 동아리, 대학교 친구들 등을 주인공으로 하여 사랑으로 고민하는 청춘의 이야기를 재현하였기 때문에 여성들이 쓰고, 읽는 사랑 이야기라는 협의의 순정만화에 가장 적합한 작가이기도 했다. 이은혜는 삼각관계를 중심으로 한 순정한 사랑이야기로 대변된다. 하지만 1990년대 유행한 청춘 드라마나 트렌디드라마를 보는 듯한 이은혜 만화의 감수성은 순정한 것만은 아니었다. ‘오빠들’로 이루어진 근친상간적 세계나 이성 간의 사랑보다 동성 간의 우정을 강조하는 호모소셜한 방식은 순결하다고 가정된 한국 순정만화가 가진 아이러니를 잘 드러낸다. 이는 사랑으로 매몰된 1990년대의 문화적 현상에 대한 고민과 더불어 논의되어야 한다. 탈정치화된 세계에서 유일하게 가능한 상상력으로서 사랑 이야기는, 가족구조의 근간을 질문하는 불온함 역시 배태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Lee Eun-hye, a cartoonist from “Jump Tree A+” and “BLUE,” has created her own world with beautiful illustrations and emotional narration. From dance singers and models to rock band vocalists, Lee recreated the cultural industry. She started developing her work in the 1990s with cartoons and attracted fandom through realistic stories featuring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When writers of the same generation were experimenting with dictionaries of Science Fiction or fantasy, Lee Eun-hye explored pure love in the context of ordinary life. She was the best writer when it came to pure comic books as a genre of “love stories written and read by women.” The world of Lee Eun-hye’s works is represented by declarative narration and beautiful images. Even media mix products using her illustrations sold quite well, and with Origianl Sound Track, products from publishing cartoons Lee has expanded her global influence by freely using the media. However, the sensitivity of Lee Eun-hye’s comics, which seems to be similar to watching a popular youth drama or a trendy drama from the 1990s, was not mild. Her cartoons, imagining pure love in an incestuous world made up of “brothers,” reveal the irony of a Korean cartoonist who has said that he is innocent. This topic should be discussed in addition to the agony of the cultural phenomena of the 1990s buried in love. As the only possible imagination in a de-politicized world, the love story was also imbued with the uneasiness of questioning the foundations of the family structure.

1. 들어가며
2. 현실적 낭만과 이미지 중심의 문화
3. 소비 자본주의 시대의 순정만화와 기호화된 취향
4. 순정하지 않은 ‘순정’의 세계
5. 나가며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