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7.6.75
3.17.6.75
close menu
KCI 등재
칼 폴라니의 사회적 자유와 채무 인식: 새로운 도덕적 사회의 구상
Karl Polanyi’s Social Freedom and Debt Recognition: The Vision of a New Moral Society
원용찬 ( Yong Chan Won )
DOI 10.17207/jstc.2019.06.22.2.1
UCI I410-ECN-0102-2021-300-000317223

산업시대를 기초로 발전해왔던 시장 자본주의와 신자유주의 경제학이 심각한 도전에 직면해있다. 시장경제를 신념체계로 삼았던 주류경제학의 상품화폐이론도 거센 논쟁에 휘말리고 있다. 칼 폴라니의 실체 경제는 주류경제학의 위기 징후와 탈물질 패러다임의 전환기에서 확장성을 보여 준다. 지금 시장-화폐적 관계로 묶여있던 ‘인간과 자연의 통합’을 해체하여 탈시장의 영역과 탈상품관계로 재통합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칼폴라니의 사회적 자유는 ‘인간과 자연의 사회적 통합’의 가치를 새롭게 모색하려는 시도에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한다. 사회적 자유는 사회로부터 분리되어 고립화된 개인의 경제적 자유에서 벗어나 ‘타인에 대한 의무와 책임’을 감당하고 자신의 선택과 행동이 의도하든 의도하지 않았든 사회적으로 미치는 결과까지도 감당하는 자유이다. 사회적 자유에 기초한 채무인식과 상호성의 통합패턴은 동료와 자연에 대한 의존관계를 핵심으로 하는 실체경제에 새로운 작동원리가 될 것이다. 채무와 책무의 관점에서 상호성과 접합하는 화폐의 지불수단은 시장경제를 사회에 되묻고 도덕적 가치로 재조직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실체경제의 패러다임은 상호의존의 채무와 반제를 연쇄 고리로 삼는 도덕적 행동과 사회적 책무라는 비경제적 동기를 역동적 에너지로 삼는다. 실체 경제에서 상호성을 강력한 구심점으로 삼아 재분배와 교환을 부차화시켜 동태적 균형 상태로 만들어가는 대칭성의 작동원리도 채무와 반제, 사회적 책무라는 도덕적 동기에 기초하고 있다. 칼 폴라니는 화폐를 허구적 상품으로 파악하고 마르크스의 노동가치설이나 신고전학파의 주관적 효용 가치설을 거부한 점에서 독창적이다. 화폐와 상호성에 입각한 사회적 채무의 창출과 재분배의 지불수단, 즉 지불수단이라는 특정목적 화폐의 용도지정을 사회적 권리로서 확대하는 작업은 경제를 사회에 되묻는 일이며 동시에 사회를 보호하고 좋은 삶을 영위하기 위한 이중운동이기도 하다. 칼 폴라니의 사회적 자유와 실체경제 패러다임은 산업시대의 신고전학파 경제학을 극복하거나 디지털의 탈물질적 가치와 선택적으로 접합하여 새로운 사회의 구상으로 나아가는데 중요한 계기를 마련해준다.

Market capitalism and neoliberal economics, which have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industrial age, face serious challenges. The commodity monetary theory of mainstream economics, which made the market economy a belief system, is also engulfed in fierce debate. Karl Polanyi ‘s substantive economy shows extensibility at the turn of the crisis symptoms of mainstream economics and the post - material paradigm. It is necessary to dismantle the integration of man and nature tied up with the market-monetary relationship and reintegrate into the domain of de-market and de-commodity relations. Karl Polanyi’s social freedom provides an important clue to attempts to renew the value of social integration of man and nature. Social freedom is the freedom to take on the duty and responsibility to others and to take on the consequences of their choice and action whether they are intended or socially, away from the economic freedoms of individuals isolated from society. The integrated pattern of debt recognition and reciprocity based on social freedoms will be a new operating principle for the substantive economy centered on dependence for his livlihood upon nature and his fellows. The means of payment of money in terms of reciprocity from the viewpoint of debt and obligation provide important clues to embed market economy into society and reorganize it into moral values. The paradigm of the substantive economy is the non-economic motive of moral behavior and social obligation as a chain of mutual dependence debt and counter-giving as dynamic energy. It is based on moral motive of debt, repayment, and social obligation as the principle of symmetry, which makes reciprocity as a strong point in the substantive economy and makes it dynamic by subordinating redistribution and exchange. Karl Polanyi is unique in that he sees money as a fictional commodity and rejects Marx ‘s labor theory of value or subjective utility value of new classical economics. The creation of social debt based on money and reciprocity and the means of payment of redistribution, ie, the use of a specific purpose money as a means of payment, as a social right, is the process of re-embedding the economy into society and at the same time protecting the society, It is also a double movement to do. The social freedom and substantive economic paradigm of Karl Polanyi is an important opportunity to overcome the mainstream economics of the industrial era and to selectively connect with the intangible values of digital and to move to the idea of a new society.

Ⅰ. 들어가는 말
Ⅱ. 칼 폴라니의 사회적 자유와 도덕적 책무
Ⅲ. 칼 폴라니의 실체경제에서 상호성과 화폐론에 내재한 채무 인식
Ⅳ. 사회적 자유와 도덕적 존재, 칼 폴라니의 새로운 사회적 구상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