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7.181.21
3.17.181.21
close menu
KCI 등재
통일방안을 위한 퇴계의 리도설과 북한의 주체사상 비교 연구
A Study about Reunification Plan through Comparison between the Toegye’s Ido-seil and the Self-reliance Ideology of North Korea
황상희 ( Hwang Sang-hee )
DOI 10.17207/jstc.2019.06.22.2.3
UCI I410-ECN-0102-2021-300-000317243

북한의 주체사상은 다른 공산권 국가들과 다른 체제적 모습을 띄고 있다. 이러한 양상을 오래된 유교적 풍습에서 찾자면 중국과 베트남을 예로 들 수 있겠지만 인본주의나 자발성에 대한 강조는 이 두 나라와도 다르다. 이러한 이유는 조선유교라는 시선으로 북한을 바라봐야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한반도는 유교를 4세기에 받아들여 독자적인 유교로 발전시킨다. 예컨대 주자와 퇴계의 차이가 그렇다. 주자는 리(理, 진리)를 정의도 없고, 헤아림도 없고, 조작도 없다고 했는데, 퇴계는 ‘발현하고(發)’·‘움직이고 (動)’로 정의하고 한걸음 더 나아가 ‘이르른다(到)’라고 말하였다. 조선유교에서 리(理)는 원리적이기 보다는 주재적인 리(理)를 강조하였다. 조선유교의 집대성자인 퇴계의 사상으로 주체사상을 해석해 내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조선의 유교적 토양이기에 동학이 형성되었듯이 주체사상도 조선의 토양에 바탕 한다. 조선은 한마디로 도덕사회라고 할 수 있다. 주체사상의 인간중심주의는 바로 이러한 조선의 문화를 그대로 철학으로 계승시킨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주체사상의 인간중심주의만을 다뤄 퇴계사상과 비교해보고 합일점을 찾아 ‘사람의 통일’ 기반을 만들고자 한다.

In North Korea’s Juche ideology, communism has been selected based on Marxism. Yet, North Korea has a system different from other communist countries. When this aspect is found from old Confucian customs, China and Vietnam can be taken as examples, but the emphasis on humanism or spontaneity is different from these two countries, too. It is because it’s possible only when understanding North Korea from the viewpoint of Confucianism of Joseon. Korea accepted Confucianism in the 4th century and developed it as independent Confucianism. The differences between Chu-tzu and Toegye can be an example. While Chu-tzu regarded Li(理, truth) as without a definition, understanding or manipulation, Toegye defined it as something ‘manifesting(發)’ and ‘moving(動)’, and furthermore, said it ‘to reach(到)’. In Confucianism of Joseon, Li(理) presiding rather than fundamental was emphasized. That’s why Juche ideology is interpreted through the ideas of Toegye, the figure who made a synthesis of Joseon’s Confucianism. When it’s taken into consideration that both Kim Il-seong’s father and Hwang Jang-yeop’s father were teachers in Seodang, it can be understood where their theoretical background is from.

Ⅰ. 서론
Ⅱ. 편견 걷어내기
Ⅲ. 우주적 가족공동체와 의식성
Ⅳ. 「천명도」와 창조성
Ⅴ. 사단과 자주성
Ⅵ. 이도설과 주인정신
Ⅶ.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