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5.209.95
18.225.209.95
close menu
KCI 등재
생물학적 사회 개념으로 본 통도사의 건축 사상
Architectural Ideas of Tongdo Temple in the View of Biological Social Concept
문정필 ( Moon Jung-pil )
DOI 10.17207/jstc.2019.06.22.2.5
UCI I410-ECN-0102-2021-300-000317263

생태 중심의 사회학적 논의는 산업화 과정에서 비롯된 부작용에 건축과 도시화로 인한 자연환경의 황폐화라는 위기의식에서 시작되었다. 위기에 대한 대안 중 하나는 동아시아 전통사상에 내제된 자연관적 가치관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즉, 유·불·선 사상의 가르침을 배경으로 구현된 전통건축을 통해 우리의 자연관을 논의하고 생태 중심적 사고를 확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통도사에 내제된 생태중심 사고를 도출해 자연환경과 연속할 수 있는 사회 생태학적 건축학을 사상적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해석적 방법으로는 통도사에 생물학적 용어인 진gene, 밈meme, 딤deme의 요소를 접근시켜 통섭한다. 진은 물질을 중심으로 한 진화적 가치를, 밈은 정신을 중심으로 한 문화적 가치를, 딤은 군집을 중심으로 한 사회적 가치를 접근시켜 해석하고자 한다. 사회학적 건축에 생물학적 요소를 더하여 논의고자 하는 것은 인간이 다른 생물과 평등함을 전제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의식은 건축행위를 근원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사고를 인식하기 위함이다. 또한, 통도사의 역사, 전통, 종교, 사회에 내제된 생물학적 가치를 추출해 낸다면, 무분별하게 발전하고 있는 건축과 도시에 근원적이면서 윤리적이고 적극적인 생태 중심적 사고를 수용할 사회 생물학적 건축사상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통도사를 통한 사회 생물학적 건축학의 제시는 인간사회를 생태 중심적 사고에 포함시킴으로 모든 생물이 평등한 환경에서 공존한다는 것을 인식하게 할 건축적 방법론으로 작용될 수 있을 것이다.

Eco-centric sociological discussion has started from sense of crisis which is caused by devastated natural environment by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which originated in the West. One among many alternatives is the establishment of the view of nature which inherent in the traditional East Asian thought. From this background, it is necessary to discuss our view of nature and establish eco-centric thought through our traditional architecture which is embodied in the philosophy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Zen thoughts. This study aims to draw eco-centric thought which inherent in Tongdo temple and discuss the socio-ecological architecture that can be coexist with nature. As an interpretative method, the biological terms; Gene, Meme and Deme are used to integrate with Tongdo temple. To discuss about sociological architecture along with biological factors is in order to premise that human beings are equal to other living things. This consciousness is intended to recognize the thought that can realize architectural behavior fundamentally. In addition, if the biological value of Tongdo temple is extracted from its history, tradition, religion and society, it is considered that it can present social and biological architectural ideas to accommodate the underlying, ethical and active ecological thinking to buildings and cities which are developing indiscreetly. Therefore, the presentation of social and biological architecture through Tongdo temple could work as architectural methodology that would make aware all living things are coexist in an equal environment by including human society in ecological-centered thinking.

Ⅰ. 들어가면서
Ⅱ. 생태중심의 사회학적 논의와 전통건축
Ⅲ. 생물학과 건축학의 통섭, 통도사의 접근
Ⅳ. 진, 밈, 딤으로 해석한 통도사
Ⅴ. 사회 생물학의 개념으로 본 통도사
Ⅵ. 나가면서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