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2.102.174
18.212.102.174
close menu
KCI 등재
한국 여성신화에서의 유교적 의미와 해석: 바리데기, 제주 본풀이 신화를 중심으로
Interpretation and meaning of Confucianism in korean myth including female characters: In Baridegi and Jeju bonpuri cases
이미림 ( Lee Mirim )
DOI 10.17207/jstc.2019.06.22.2.6
UCI I410-ECN-0102-2021-300-000317278

신화는 현재 우리가 가지는 사유의 원형이라는 측면에서 일정한 시기에 국한되지 않는 보편성을 갖는다. 신화가 갖는 보편성은 지금 우리의 모습을 비추는 거울과 같다. 특히 여성신화에서 비춰지는 여신의 전승과정은 오늘날 여성의 모습과도 닮아 있다. 여성신화를 연구하는 많은 입장들이 여성신화의 전변과정은 유교의 가부장적 질서를 받아들이게 된 결과로 나타나게 되었다고 한다. 물론 시대성이라는 측면에서 재해석된 유교의 영향 또한 유교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지만, 일방적으로 유교 자체의 모순적 원리로 바라보는 것도 잘못된 해석이라고 보여 진다. 모권사회에서 부권사회로의 변천에 따라 여신 또한 남신으로 변모하게 되는 신화적 인식의 변천에는 생산에 대한 장악과 그것의 유지를 위한 권력의 필요성이 있었을 것이다. 한국의 유교문화는 여성들에게 있어서 많은 억압과 굴레를 만들어 온 것도 사실이나, 그것이 어떤 측면에서 이야기 되어진 유교문화인지는 좀 더 세심한 분석적 고찰이 요구된다. 유교의 원리적 모습들과 그것이 시대 속에서 재해석 되어 잘못 읽혀진 부분들이 있다. 물론 양자 모두 유교의 모습이다. 그러나 우리가 한국의 여성신화의 전승과정에서 잊지 않아야 할 것은 이러한 과정들이 복합적이고 중층적이기 때문에 다양하게 읽어낼 수 있으며, 이는 현재 우리 여성자신이 반영된 모습이다. 우리의 전통이 불변의 것이 아니라 지속적인 변화와 함께 할 수 있고, 또 지금도 그러하다면 신화 속 여성은 시대와 함께 진화하는 중이라 할 수 있다. 희생을 통해 드러나는 한국 여성신화의 모습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의 문제는 지금까지 언급한 바와 같이 그것이 유교 문화의 폐습으로 인해 여성에게 희생을 강요하는 것은 아니었다는 것이다. 신화 속에서 나타나는 자연과 인간의 모습, 그리고 생명의 가치와 함께 공존하고자 하는 모습은 유교에서 추구하는 가치관과 많은 부분에서 공감할 수 있다. 다만 신화 속에서 희생을 통해 보여지는 여성의 모습을 해석할 때, 유교적 가치개념의 영향이 전혀 배제되기 힘들었다는 점은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그런 모습들이 과연 온전히 유교 때문이었는가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모든 것을 뛰어넘어 스스로의 노력으로 성공적으로 신의 자리에 좌정하는 모습도 유교의 모습일 것이다. 한국 여성신화에서 보여지는 유교의 모습은 시대 안에 변화와 함께 스며든 신화속 주인공들의 모습이다. 신화속 주인공들이 유교가 통치하던 시대를 지나오면서 자연스럽게 스며든 과정은 반목과 대립이 아닌 생활속에서 과불급의 위치를 찾는 과정이라 할 수 있겠다.

Mythology has universality and fundamentality not limited to a particular period in terms of its being the prototype of our current thoughts. The universality of mythology can be seen as a mirror reflecting who we are now. In particular, the transmission process of a goddess in goddess myths resembles today’s females. Many perspectives of the study on female mythology say that the process of the constant changes in female mythology is the outcome of accepting the Confucian patriarchal order. Of course, the Confucian influences reinterpreted from the aspect of historical meanings can be also regarded as a Confucian aspect, yet, the unilateral viewpoint of seeing it as a Confucian own contradictory principle looks like a wrong interpretation, too. In the transition of mythological understanding that changed from a goddess to a god along with the change from a matriarchal society to a patriarchal one must the necessity of power in order to dominate production and maintain it have existed. While it’s a fact that the Confucian culture in Korea has created a lot of oppression and bonds upon women, more careful analytic study is required on from which aspect the Confucian culture has resulted. There are original aspects of Confucianism, and the parts that have been reinterpreted in the times and read improperly. Of course, whatever aspects the both have, they belong to Confucianism. However, what we shouldn’t forget in the transmission process of Korean female mythology is that as these procedures are complex and multilayered, they can be read in diverse ways, and that these aspects can be seen to reflect the present ourselves as females.

Ⅰ. 들어가는 말
Ⅱ. 신화적 인식과 유교적 여성주의 수용
Ⅲ. 한국 여성신화의 유교적 의미와 해석
Ⅳ. 나오는 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