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8.137.218
13.58.137.218
close menu
KCI 등재
대안적 가족담론으로서의 행복가족: 불교적 관점을 중심으로
The Happy Family as an Alternative Approach to Family Discourse From a Buddhist Perspective
이민정 ( Lee Min-jeong ) , 박수호 ( Park Su-ho )
DOI 10.17207/jstc.2019.06.22.2.7
UCI I410-ECN-0102-2021-300-000317283

그동안 가족변화를 둘러싼 논의들은 가족의 구체적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가족의 새로운 지향점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러한 인식을 전제로 본 연구는 가족의 행복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과제가 되어 버린 현실에 주목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불교적 관점에서 행복가족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현대사회의 가족 변화를 이해하고 가족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우선 현대사회의 가족변화에 대한 기존 담론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에서 논의를 시작하였다. 이를 통해 과거의 가족 개념이 유효하지 않음을 확인하고 행복가족이라는 새로운 가족 담론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이후 가족과 행복의 관계를 논의하고 있는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고 행복가족 개념을 도출하였다. 이어서 불교의 행복관과 현대 가족이론에 대한 불교의 함의를 논의하고, 불교의 주요 교리들을 중심으로 행복 가족의 실현 조건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이상의 논의들을 통해 확인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과 행복의 관계에 대한 논의들을 검토한 후, 행복가족을 ‘가족 구성원 개개인의 행복 추구를 보장하면서, 긍정적 관계 경험을 통해 높은 수준의 삶의 질을 유지하는 가족’으로 정의하였다. 이 개념은 여전히 정상가족 신화에서 벗어나지 못한 기존의 가족 담론을 대체할 수 있는 대안 담론으로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고통의 해소를 통해 행복을 추구하고, 연기적 세계관에 근거한 무아와 무상의 논리, 사회변화에 대한 유연한 수용을 강조하는 불교의 관점들은 현대 가족의 변화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틀을 제공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행복가족을 실현하기 위한 조건들의 타당성이 주요 불교 교리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우선 행복가족 개념에 의거하여 행복 추구를 보장하기 위한 조건, 긍정적인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조건, 그리고 이 조건들을 뒷받침하기 위한 맥락적 조건을 설정하였다. 가족구성원의 행복 추구를 보장하기 위해서는 다양성이 인정되어야 하는데, 연기설을 비롯하여 혈통주의 가족관에 대한 비판, 원효의 화쟁사상, 도반 개념 등은 다양성을 인정하는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긍정적 관계를 오래 유지하기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호혜적 관계가 요구된다. 모든 생명을 평등한 관계로 인식하는 불교는 가족 구성원 모두에게 상호 의무를 부여하고 있으며, 이들 관계에서 호혜성의 원칙을 관철하고 있음을 살펴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가족을 소유의 대상으로 보거나 가족관계에 집착하는 순간, 가족이 고통의 근원이 될 수 있음을 지적하고 무아와 무상, 공 등의 교리를 통해 이를 경계하고 있음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현대사회의 가족 변화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불교의 유용성을 확인하고, 가족문제 해결을 위한 지향점으로 ‘행복’이라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Previous family studies failed to reflect the concrete reality of families based on the myths about the normal family and to present the new point of view of the family. With this recognition, we focused on the reality that family happiness became a task. Thus, this study set out to understand family changes in the modern society and to find the clues to solve the family problems around the concept of the happy family from the Buddhist perspective. First of all, this study began its discussions by reviewing the old discourses about family changes critically. Based on studies, it confirmed that the past family concept was no longer valid and raised a need for a new family discourse called the happy family. After identifying the concept of the happy family based on studies on relations between family and happiness, we reviewed the conditions to realize the happy family around the major doctrines of Buddhis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appy family was defined as the ‘family that maintains a high quality of life through positive relationship experiences while guaranteeing the pursuit of happiness for each family member.’ This concept can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discourse to replace the old family discourse that is still stuck to the myths about the normal family. Second, Buddhist perspectives including pursuit of happiness through the relief of pain, impermanence and non-self-entity logic based on the dependent arising view of the world, and emphasis on the flexible acceptance of social changes are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modern families. Third, it was discussed that the validity of the conditions to realize the happy family was supported by the Buddhist doctrines. First of all, a set of conditions were set to guarantee pursuit of happiness based on the concept of the happy family along with the conditions to maintain positive relations and contextual conditions to support these conditions. It is required to diversity for the happy family. And They correspond to the criticisms about the jus sanguinis view of family including the theory of paticcasamuppada, Wonhyo's Thought of Hwajaeng, the concept of the Dharma brothers. Family members are required to establish reciprocal relations for positive relationship for a long time. Considering all living creatures in equal relations, Buddhism grants mutual duties to all the family members. And in these relationship, it will pursue the principle of the reciprocity. Finally, we discussed the need to be vigilant though doctrines through non-self-entity, impermanence, emptiness because ownership or obsession about family can be a source of suffering. The study discussed that people should be alert about it through impermanence, anatman, emptiness. This study confirmed the usefulness of Buddhism in the understanding of the family changes and proposed a new perspective called "happiness" to resolve family issues,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Ⅰ. 문제제기
Ⅱ. 현대사회 가족의 변화와 행복담론
Ⅲ. 불교의 행복관 및 현대 가족이론에 대한 불교의 합의
Ⅳ. 행복가족의 조건에 대한 불교적 타당성
Ⅴ.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