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8.114.94
3.138.114.94
close menu
KCI 등재
한국 팬덤의 민족주의 정체성 전략에 관한 연구
Strategies for Managing Nationalist Collective Identity of Korean Fandom
이혜수 ( Lee Hye-soo )
DOI 10.17207/jstc.2019.06.22.2.8
UCI I410-ECN-0102-2021-300-000317298

이 논문은 문화적 마이너리티로서 한국사회의 팬덤이 집단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민족주의를 전략적으로 활용하는 연유를 밝혀보고자한 것이다. 열정적 일체감을 기초로 하는 팬덤은 애호 대상에 대한 순결한 믿음이 아닌 세속적 공동체 의식으로서의 집단 정체성을 구축하며, 자신이 속한 집단이나 조직의 유지존속을 위해 노력하게 된다. 따라서 팬들은 애호 대상을 바라보는 자신과 사회에 비추어지는 자신이라는 양가적 입장을 모두 제어해야 하게 된다. 즉 팬들은 우상을 우러러보는 열렬한 관객이면서, 일반사람들 눈에는 그 주위에 포진한 보조 연기자로 인식된다. 팬덤 구성원들의 양가적 입장은 사회적 행위를 객석 앞에서의 무대 공연에 비유한 어빙 고프만의 인상관리론에 의해 적절히 해명될 수 있다. 팬들은 스타의 꾸며진 연기를 관람하는 수동적 관객이지만, 스타의 인상이 실추되지 않도록 공조하는 능동적 공연진의 일부로 간주되는 까닭이다. 이러한 점에서 팬덤은 주객(主客) 변신이 가능한 ‘전환적 간극집단’ (switchable interstitial group)이라 할 수 있다. 전환적 간극집단으로서의 팬덤은 애호 대상과 관객이라는 양대 파트너와의 관계 구도를 임의적으로 조절해 주류문화의 기조 하에서 독자적 하위문화를 지속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한다. 더구나 문화적 마이너리티로서의 성향을 담지한 팬덤은 사회적으로 공인된 가치를 병합하여 이미지의 개선을 꾀하는 경우가 많은데, 민족주의, 특히 마이클 빌리히가 지적한 ‘상투적 민족주의’(banal nationalism)는 바로 한국사회의 팬덤이 정당성 확보를 위해 즐겨 의존해 온 소재였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연구방법론으로 심층면접을 선택하였다. 팬덤은 기본적으로 온라인 공간을 중심으로 그 발단과 전개과정이 이루어지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역동성을 가지는 언설공동체(speech community)로서 인위적 통제가 어려운 연구대상이다. 따라서 팬덤 활동의 흐름, 팬덤 구성원 또는 팬덤들 간의 상호작용을 내부자적 시각에서 조망하기 위해서는 질적 연구가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why Korean fandom has been manipulating nationalism in the process of building group identity. Since fandom is a speech community with uncontrolled dynamics, an unstructured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o solicit the clues to the answer. Fans are enthusiastic spectators who look upon to the idol they admire. To the eyes of the general public, however, fans are seen to be supporting actors subsidiary to the performance of their idol. The dual roles of the fandom, role of spectator and role of coactor, can be explicated by Erving Goffman’s dramaturgical paradigm, especially via his thesis on ‘impression management.’ Fandom which are located in between the idol and the general public can be defined as ‘interstitial group.’ But it may be further named as ‘switchable interstitial group’ since fan contain dualistic attributes including that of passive audience and active player. Continuously switching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fan members keep on searching for the way to maintain its subcultural group identity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dominant culture of mainstream society. It is ‘banal nationalism’ that many fan members in Korea have been resorting to in order to enhance the legitimacy of their subculture from the general public.

I.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방법 및 대상
Ⅳ. 연구 결과: 팬덤 민족주의의 동학과 특성
Ⅴ.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