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147.53
3.15.147.53
close menu
KCI 등재
생태소설 교육 방안 고찰 - 한강 소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Educational Plans based on Ecological Novels - With a focus on Han Kang’s novels -
나선혜 ( Na Seon-hye )
배달말 64권 1-26(26pages)
UCI I410-ECN-0102-2019-700-001664873

생태문학은 생태위기를 초래한 근대적 세계관에 내재된 파괴성을 비판하고 성찰하며, 생태의식과 가치를 드러내는 문학으로서 이에 대한 교육은 생태사회를 전망해 내는 데 필요하다. 특히 생태소설을 통한 문학교육은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생태계에 대한 태도와 가치관, 생활양식 등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켜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구체적으로, 학습자가 자연을 공생과 친화라는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해야 하고 모든 생명체가 상호 연관되어 있다는 생태학적 인식을 갖게 도와야 한다. 이는 무엇보다 생태의식이 반영된 작품들을 꼼꼼하게 읽고 비판적으로 재구성하는 작업을 통해 성취될 수 있다. 학습자는 생태의식이 소설 속에서 어떻게 형상화 되어 있는지 고찰함으로써 생태위기에 대해 이해하고 공감하는 유의미한 경험을 할 수 있다. 더불어 자신의 위상을 점검하고 인식을 재고하면서 자아 성찰을 하게 될 것이다. 나아가 전일성의 관점에서 세계를 재조명함으로써 파괴된 생태계 복원의 당위성과 모든 생명체가 더불어 사는 공존의 삶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생태소설의 수용 경험은 자아와 현실에 대해 비판적 인식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생태계 안에서 살아가는 하나의 주체인 인간으로서 바람직한 자아관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준다. 이러한 생태소설 교육의 장에서 유용한 텍스트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이 바로 한강의 소설이다. 한강은 초기 작품에서부터 『채식주의자』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작가 자신의 생태적 사유를 보여준다. 그의 소설에 담긴 여성성과 생태의식은 생태위기를 초래한 근대적 세계관에 담긴 파괴성을 비판하고 근본적인 인식의 해체와 변화를 꾀하며 논의의 중심에 서 있다. 한강의 작품속 인물들은 자신이 속한 실재적 세계를 넘어 이상향인 자연적 공간으로 나아가고자 하며, 타자와의 관계에서 상처를 입지만 그들을 이해하고 포용함으로써 그 상처를 치유하고자 한다. 학습자들은 이와 같은 입체적이고 개성적인 인물들과 공간적 배경에 대한 해석을 통해 작품 속에 내재된 생태의식을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생태적 상상력 속에서 나타난 변신 모티프와 같은 환상성은 학습자에게 다양한 반응을 불러일으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한강 소설을 활용하여 생태소설 읽기 교육의 한 방법으로 상호텍스트성 읽기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학습자는 서로 관련 있는 문학 작품을 엮어서 감상하는 과정을 통해 텍스트에 대한 해석을 보다 명료하게 하고 심화할 수 있다. 나아가 주어진 두 텍스트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뚜렷한 관련성이 보이지 않는 텍스트들 간에서도 스스로 연관성을 발견하고 능동적으로 탐색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호텍스트성 읽기는 글쓰기와 토의수업으로 연계될 수 있다. 개별적 행위로서의 텍스트 이해와 해석은 다른 학습자와의 토의나 대화 등을 통해 보다 타당한 것으로 결정되며 이를 구체적인 쓰기로 표현함으로써 수동적인 소설 읽기에서 벗어나 적극적인 소설 읽기를 수행할 수 있다. 토의나 글쓰기와 같은 수용과 창작 활동은 문학적 감수성과 상상력을 함양하는 실천적 모형이 되므로 교수 학습 과정에서 그 필요성이 크다고 할 것이다.

Ecological literature criticizes and reflects on the destructive nature inherent in the modern world views that have caused the ecological crisis and reveals ecological consciousness and values. Education on ecological literature is needed for the prospect of an ecological society. Literature education based on ecological novels, in particular, have a task of changing fundamentally the attitudes, values, and lifestyles of learners toward the ecosystem. Specifically, the education should help learners look at nature from the perspectives of symbiosis and affinity and develop the ecological awareness that all living things are connected together. It can be achieved by reading thoroughly works reflecting ecological consciousness and reconstructing them critically. Learners can have significant experiences of understanding and sympathizing with the ecological crisis by looking into the ways that ecological consciousness is embodied in novels. In addition, they will be able to check their status and reflect on their awareness, achieving self-examination. Furthermore, they will shed new light on the world from the perspective of wholeness, thus recognizing the legitimacy of restoring the destroyed ecosystem and the need for the life of coexistence with all living things. The experiences of accepting ecological novels not only enable the critical awareness of one’s ego and reality, but also have impacts on the desirable view of his or her ego as an independent human being living in the ecosystem. Han Kang’s novels can serve as useful texts in the field of education based on ecological novels. The writer has been consistent to show her ecological thinking from her early works to The Vegetarian. The femininity and ecological consciousness found in her novels criticize the destructive nature of the modern world views that have caused the ecological crisis and promote the fundamental deconstruction and change of consciousness, thus being at the center of discussions. In her works, the characters try to go into an ideal natural space beyond the real world where they belong. Although they get hurt in their relations with others, they understand and embrace them and try to heal their wounds. Learners can make an inference about ecological consciousness inherent in her works by interpreting her three-dimensional and characteristic characters and spatial backgrounds. In addition, fantasy such as the metamorphosis motif in her ecological imagination will cause different reactions in learners. The study proposed a plan of reading intertextuality as a method of reading education for ecological novels. Learners can interpret a text more clearly and deepen its meanings in an appreciation process of putting together relevant literary works. Furthermore, they can not only figure out relations between two given texts, but also develop an attitude of discovering and exploring connections between texts with no explicit connections in a voluntary and active manner. This plan of reading intertextuality can lead to writing and discussion lessons. Text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as individual acts are determined to be more valid through discussions and conversations with other learners. When this is expressed in concrete writing, learners will be able to engage in active reading of novels beyond passive reading of novels. Such acceptance and creation activities as discussions and writing can be a practical model to cultivate learners’ literary sensitivity and imagination, thus holding a huge need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1. 생태주의와 소설 교육
2. 한강 소설의 생태의식과 교육적 함의
3. 한강 소설을 활용한 생태소설 교육의 실제
4.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