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2.70.9
3.22.70.9
close menu
KCI 등재
1920년대 통영지역 시조동인지 『참새』의 로컬리티 연구
A Study on Locality of Sijo coterie magazine 『ChamSae』 in Tongyeong region during 1920s
우은진 ( Woo Eun-jin )
배달말 64권 261-289(29pages)
UCI I410-ECN-0102-2019-700-001665032

본 연구에서는 1920년대 통영의 로컬리티를 지층으로 삼아 배태된 시조 중심 근대매체 『참새』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로컬리티의 개념에는 공간성, 시간성, 인문적 환경 등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그렇기에 통영지역의 문학적 전통, 당대 사회, 사람 간 교류 관계 등을 고려하며 『참새』의 텍스트를 분석해보았다. 이를 통해 1920년대 통영 내에서의 삶과 인간관계를 포함한 로컬리티가 장르의 선택, 동인 형성, 매체의 발간과 성격 등에 미친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참새』 발행은 로컬리티 위에서 이루어진 담론의 공유와 교류라는 측면에서 본격화된 동인 활동이었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참새 동인들은 모두 통영 출신으로서, 시조창을 향유하고 있던 문화 속에서 생활하며 전통적 시조 양식을 익혀온 이들이었다. 그리고 그들이 발간한 근대매체 『참새』에 발표된 시조들은 시조부흥론이 가진 조선적 근대문학으로서의 시조 인식과 지역사회에서 이어져 오던 시조창 가창의 관습이 맞물리며 시조가 실제로 창작, 변화되는 자리를 살펴볼 수 있게 하는 텍스트였다. 한편 『참새』에 수록된 작품 일부에서 직접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비판적 사회의식 경향의 경우, 그들이 당대 통영지역 사회운동단체에서 활동하던 청년들로서 식민지사회의 현실과 사상을 공유하며 교류하고 있는 이들이었다는 점을 밝혀내었을 때 설명될 수 있는 부분이었다.

In this research, 『ChamSae(Sparrow)』, the Sijo-centered modern media that was created on the base of locality of the region of Tongyeong, was examined. In the concept of locality, the identity of a place, are implied spatiality, time, humanistic environment and etc. Therefore, the narrative of 『ChamSae-(Sparrow)』 was analyzed while the literary tradition, the society of the time, exchange relation between individuals and so on in the area of Tongyeong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It was the work to check the impacts of locality including life and human relationships in the place of Tongyeong in 1920s on the choice of a genre, formation of a motive, publication and nature of media and etc. All the members of the coterie of ChamSae(Sparrow) were from Tongyeong, and conventionally acquired the traditional style of Sijo in the culture of enjoying Sijochang. And the Sijos released in 『ChamSae(Sparrow)』, the modern media published by them, were the texts through which the interconnectedness between the recognition of Sijo creation as the modern literature of the theory of Sijo revival and the custom of Sijochang singing that had continued in the local community can be examined.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the critical attitude toward the society, it could be explained when it was revealed that they were also the young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social activist groups in Tongyeong of those times. In addition, when both the culture that Sijochang was enjoyed as the songs of the general people and the public activities regarded as important by the social activist groups of those days were also considered together, the recognition of the members of ChamSae(Sparrow) coterie, who chose Sijo as the public art and published its media as the activity to distribute it, was also able to be figured out.

1. 들어가며
2. 통영지역의 시조 전통과 근대문학적 시조 인식의 교차
3. 일제강점기 통영 사회의 현실과 동인들의 통영청년단체 활동
4. 나오며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