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8.82.79
13.58.82.79
close menu
KCI 등재
신경과학적 관점의 정서조절 연구 동향 - 상담 및 심리치료에 제공하는 시사점 -
The Trend of Emotion Regulation Research Focusing on the Neuroscientific Perspectives - Implications for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
김창대 ( Kim Changdai )
상담학연구 20권 3호 1-51(51pages)
UCI I410-ECN-0102-2019-300-001172805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는 인간의 심리·사회적 건강과 정신 병리를 좌우하는 핵심적 요소 중 하나인 정서조절과 관련된 연구동향을 최근 신경과학적 관점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정서조절에 관한 신경과학적 관점에서 수행된 연구들의 특징은 ① 정서의 순기능에 관한 이해 확장, ② 정서의 수위성 강조와 인지적 평가의 재평가, ③ ‘정서적 격발기제’의 실체적 이해 제공, ④ 정서(emotion)와 감정(feeling) 기제의 구별, ⑤ 개인내적 자가 조절에서 관계를 통한 상호 조절로의 중심이동 등으로 요약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징을 반영한 잠정적 정서조절 모형을 제시하고, 이러한 정서조절 연구와 모형이 상담 및 심리치료의 연구와 실무에 제공하는 시사점을 논의했다.

Emotion regulation is one of the key factors influencing psychological and social health and psychopathology of human beings. This study examined the trend of up-to-date emotion regulation research focusing on the recent neuroscientific perspectives. In short,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uroscientific perspectives and research on emotion regulation were ① extending the understanding of positive function of emotions, ② emphasizing the primacy of emotions and reappraisal of the cognitive appraisal, ③ providing tangible understanding of ‘emotional trigger,’ ④ differentiating between the mechanisms of emotion and feeling, ⑤ moving the focus from self regulation to interactive regulation. A provisional model of emotion regulation that reflects these characteristics was proposed, and the implications of the emotion regulation research and model for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들어가기
논의 및 시사점
연구측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