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6.212.99
3.16.212.99
close menu
KCI 등재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중학교 1학년 교과서의 고전서사 수용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Acceptance Pattern of Classical epic in a textbook for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in the 2015 revision of Korean language and curriculum
강문종 ( Kang Moon-jong )
영주어문 42권 89-110(22pages)
DOI 10.30774/yjll.2019.06.42.89
UCI I410-ECN-0102-2019-700-001656753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였고 공통과목을 중심으로 고전서사문학의 수용을 살펴보았다. 첫째, 문학의 갈래와 역사라는 내용체계를 설정하여 고전서사 활용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둘째, 9종 교과서의 고전서사 수용 현황을 조사한 결과 작품의 수와 종류가 매우 제한적이었다. 9종 교과서에 활용된 고전서사를 모두 합한 결과 <홍길동전>, <별주부전>, <심청전>, <낙랑공주와 호동왕자>, <주몽신화>, <원천강본풀이>, <재주꾼세 사람> 등이 전부다. 장르별로 구분해 보면 소설 2종, 설화 3종이 전부다. 설화 중에서는 건국신화 1종, 서사무가 1종, 민담 1종으로 정리된다. 셋째, 고전서사문학을 구비문학을 제외한 기록문학 중심으로 이해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넷째, 고전서사의 활용은 문학 및 읽기 영역에서 활용하고 있다. 다섯째, 고전소설 <별주부전>의 주제의식 및 내용에 대한 심각한 왜곡이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격적인 문학작품을 접하는 시기에 우리의 고전문학 특히 고전서서문학사에서 대표성을 확보한 작품을 성취기준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최소한 이 내용체계 안에서 문학작품의 활용은 고전문학에서 시작해야 하며 고전서사문학 역시 중요하게 다뤄져야 할 것이다. 특히 문학의 영역을 이해할 때 구비문학사에서 대표성을 확보한 작품이 활용되어야 한다. 읽기 영역은 요약하기를 중심으로 구성하기보다는 상상력을 기르고 독서의 가치와 즐거움을 느낄 수 있게 하는데 중점을 둬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중학교 문학 영역에서 고전서사의 활용 역시 심미적 체험과 문학적 소통을 우선 선택하는 것이다.

It reviewed the acceptance of classical epic literature, focusing on common subjects in the 2015 revision of Korean language and curriculum. First, the content system of the genre and history of literature was established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use of classical epic. Second, the status of the acceptance of the classics in nine kinds of textbooks was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number and type of works were very limited. The used classical epic are < Hong Gil Dong Jeon >, < Byeol-Joo-Boo-Jeon >, < Shim Chung Jeon >, < Princess Nakrang and Prince Hodong >, < Myth of Jumong >, < Woncheongangbonpuri >, < three dexterity >. In terms of genre, there are only two novels and three myths. Among the folktales, there will be one type of national foundation myth, one kind of Shamanistic Epics, and one kind of folktales. Third, it understand classical epic literature as the center of writing literature. Fourth, Classical epic literature is being used in the literary and reading fields. Fifth, there is a serious distortion of the sense of Topic and content of the < Byeol-Joo-Boo-Jeon >. To solve these problems, one should study the most representative classical epic literature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In addition, the use of literary works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should start with classical literature, and classical epic literature should also be dealt with as important. In reading areas, emphasis should be placed on building imagination and making reading worth and enjoyment of reading possible. In the middle school literature field, the use of classical epic literature should first choose aesthetic experience and literary communication.

1. 서론
2.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분석
3. 국어1에 나타난 고전서사 수용 양상
4. 고전서사 수용의 비판적 이해
5.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