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240.243
18.191.240.243
close menu
KCI 등재
공해이론의 기호학적 정초 - 아돌프 로스(Adolf Loos)의 장식미학을 중심으로
Semiotic Foundation for a Pollution-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Ornament-Aesthetics by Adolf Loos
박여성 ( Park Yo-song )
기호학 연구 59권 113-144(32pages)
DOI 10.24825/SI.59.5
UCI I410-ECN-0102-2019-700-001661165

본고에서는 기호학계에서 거의 주목하지 않았던 ‘기호학적 공해’에 대한 논의를 시도한다. 물리적 공해에 대해서는 기술·공학·법률 등 여러 차원에서 논의되어 해당 기준이 확립되었으나, 공해에 대한 기호학적 접근은 국내는 물론이고 유럽과 미국을 비롯한 세계기호학계에서도 걸음마 단계에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필자가 이전에 제시했던 기호학적 공해에 대한 연구의 미비함을 보완하고, 인접 분야의 이론적·실제적 성과를 수용하면서 이 문제를 다루는 공론장을 촉구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첫째, 오스트리아 격동기의 건축이론가 아돌프 로스(Adolf Loos)의 미학적 성찰을 바탕으로 장식(裝飾)에서 출발하는 미학적 시도가 과잉(過剩)을 거쳐 공해(公害)에 도달하는 과정에 주목하고, 둘째, 타인의 삶과 공동체에 물질적·정신적 피해를 입히고 급기야 범죄(犯罪)에까지 이르는 기호학적 공해의 지형도를 그려본다. 끝으로, 기호학이 생활세계의 파괴를 회복하고 소통참여자의 행복에 기여하는 방안으로, 영국의 언어철학자 그라이스(H. P. Grice)의 ‘대화 준칙’에 바탕을 두어 ‘기호세계 소통 준칙’을 제안한다.

In this article, we aimed to build a semiotic foundation for a Theory of so-called Semiotic Pollution from the perspective of Ornament-Aesthetics by the Austrian Architect Adolf Loos (his main work is “Ornament and Crime”, the original title in German “Ornament und Verbrechen”), who critically conceptualized the modern european architecture during the BelleÉpoque era. Until now, the traditional semiotics - to our regret - has not paid sufficient attention to this topic, but we can observe some valuable viewpoints from related disciplines such as Architectural Aesthetics, Law, and Communication-Theory, which could substantially enrich our current discussions. Consequently, we set our goal to evaluate these attemps with more specific angle: i.e., the semiotic pollution as a phenomenon, ranging from Ornament via Hypertropy up to Crime. On the basis of Semiotic Systematics (cf. R. Posner), we deal with following issues in relevant chapters: Chapter I: Semiotic Pollution as a Topic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Chapter II: Related Observations from Architectural Aesthetics, Law, Communication-Theory Chapter III: Ornament-Aesthetics by Adolf Loos (cf. M. Muller, M. O. Fernandez) Chapter IV: Conclusion and future task: Semiosis-Maxims (cf. H. P. Grice). In conclusion, we summarize all the significant approaches concerning Semiotic Pollution, and submit hereby a proposal for academic issues and their applications to ‘Living World’(in German, Lebenswelt). For further research, we propose a ‘Topography of Semiotic Pollution’. With those results, we would like to analyze concrete cases from all the five sensoric (=visual, acoustic, gustatoric, olfactoric and haptilic) channels, which could expand the traditional field of Theoretical Semiotics. That is the very reason, why we here emphatically declare the meaning of Co-operation between Law, Philosophy of Language, Communication- Theory, and Semiotics.

Ⅰ. 들어가기
Ⅱ. 인접 분야의 단서들
Ⅲ. 아돌프 로스의 장식미학
Ⅳ. 과제: 기호세계 소통 준칙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