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9.236.219
13.59.236.219
close menu
KCI 등재
도(道)의 친구들 - 『장자』 ‘막역지우’(莫逆之友)의 의미와 함축 -
The Friends on the Way - the Friendship and its Meaning in the Philosophy of Chuang-tzu -
김시천 ( Kim Si Cheon )
시대와 철학 30권 2호 43-78(36pages)
DOI 10.32432/KOPHIL.30.2.2
UCI I410-ECN-0102-2021-100-000318340

『장자』(莊子)는 일반적으로 선진 제자백가(諸子百家) 가운데, 유가(儒家)의 비판자였던 ‘도가’(道家)에 속하는 문헌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심 사상은 『노자』(老子)와 함께 도(道)와 덕(德)에 관한 철학을 핵심으로 하는 세계관과 인간관에 있으며, 이를 발전시킨 ‘소요’(逍遙), ‘제물’(齊物)과 같은 독특한 사상은 정신(精神)의 자유를 옹호한 철학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최근 많은 학자들은 『노자』와 『장자』 사상의 차이를 강조하며 서로 독자적인 철학으로 평가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그렇다면 『장자』 사상의 독특성은 어디에 있는가? 이 논문은 무엇보다 『장자』에 등장하는 화자(話者)에 초점을 맞추어 텍스트의 특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장자』의 등장인물들은 서로 비난하고, 조롱하며, 가르치고 일깨우면서 경합하듯 대화하기도 한다. 때로는 사제처럼 가르침을 주고받지만, 때로는 친구처럼 수평적으로 보이지만, 반드시 친구라고만은 볼 수 없는 기이한 관계로 설정되기도 한다. 이렇게 보면 『장자』는, 전통적 인간관계의 중심축인 오륜(五倫) 가운데 ‘군신’(君臣)이나 ‘사제’(師弟) 관계의 화자들이 등장하는 그 외의 문헌들과 일정 정도 구분된다. 나는 『장자』에 등장하는 화자들을 인류학의 분석 도구인 ‘농담관계’와 ‘회피관계’ 개념에 비추어 해석하고자 했다. 『장자』는 친밀성과 상호부조라는 도덕적 관계인 친구에 대해 ‘막역’(莫逆)으로 새롭게 규정하는데, 이는 ‘농담관계’가 보여주는 몇 가지 특징과 매우 유사하다. 이를 통해 보면, 『장자』에 등장하는 기괴한 인물과 행적의 설정은 일종의 위계의 전복을 의도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나는, 『장자』에 등장하는 기괴한 등장인물들의 성격, 그들 사이의 괴팍한 행적과 대화를 합리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본다. 나아가 이러한 등장인물들은 ‘기’(氣)의 우주론을 통해 자연세계의 연속성을 보여주는데, 이는 『장자』가 수평적 인간 관계의 근원을 자연의 연속성을 통해 확보하고자 했던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요순(堯舜)과 같이 될 수 있는 ‘본성’(性)을 지닌다는 『맹자』(孟子)와 구분되는 철학적 전략이다. 세계를 형성하는 근원인 기(氣)의 취산(聚散)으로부터 인간의 생명이 유래한다는 생각은, 일종의 자연적 평등을 암시한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은 『장자』 철학의 독특성을 통해, 인간과 사회 그리고 인간 관계에 대해 보다 자유롭고 평등한 세계를 상상하였던 흔적이라고 이해하고자 한다. 그리고 『장자』의 자유에 대한 상상은 평등에 대한 염원에 기대고 있다는 점을 암시한다. 이러한 『장자』이해는, 『장자』 철학이 오늘날 ‘개인주의’와 ‘자유’ 등과 관련된 현대 철학의 쟁점들과 연결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The thoughts of Chuangtzu have generally been known as the literature within Taoism that criticized Confucianism among post-all philosophers. The cental thoughts are closely related to the thoughts of Laotzu along with the views of the world and humans the philosophy on enlightenment and virtue, which is uniquely developed into ‘the free and easy wandering’(逍遙) and ‘the making all things equal’(齊物) and they are considered as the philosophy to advocate the freedom of consciousness. However, many philosophers have recently emphasized the differences between Laotzu and Chuangtzu because they tend to firmly find them individual. In fact, are we able to realize where the characteristics of Chuangtzu are? This research, above all, accounts for the traits of Chuangtzu in accordance with the viewpoints of direct narrators, which helps to rationally understand the strange characters' personalities, temperamental behaviors, and fractious conversations among them. Also, these various aspects of them can be interpreted as deliberate approaches to disrupting the order of ranks based on joking and avoidance relationships to analyze the anthropology. In this sense, Chuangtzu partially differs from the other literature because unlike his, its contents mostly utilized ‘the ruler and the ruled’(君臣) and ‘the master and the diciples’(師弟) relationships among traditional Five Cardinal Relations in Confucianism. Further, these characters show the continuity of the natural world through the cosmology of ‘ch’i’(氣) and the thoughts of Chuangtzu have been understood to secure equal human interactions through this continuity. This is the philosophical strategy to distinguish his thoughts from Mencius which has focused on every human' ‘nature’(性) to change into Yao-Shun(堯舜). Also, the thought about all human lives from the transformations of ‘ch’i’, the main source to form the world, indicates a kind of natural equality. This research aims to comprehend the ideal egalitarian society that Chuangtzu conceived from the evidence of humans, their societies, and relationships through his distinctive traits. In addition, his imagination about freedom suggests that he depended on the desires for the equality. In this regard, his philosophy implies possibilities to interact with the issues about the present individualism and freedom within contemporary philosophy boundaries.

1. 농담과 회피 그리고 『장자』
2. 오륜(五倫)과 붕우(朋友)
3. 무례(無禮)와 방외(方外): 『장자』의 ‘막역’(莫逆)한 친구들
4. 농담하는 신체와 자연의 연속성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