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6.83.150
3.16.83.150
close menu
KCI 등재
중학생 학습자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표현 영역 성취기준 연구
Developing standards of the expression domain for digital literacy focus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서수현 ( Seo Soo-hyun ) , 김지연 ( Kim Ji-yeon ) , 옥현진 ( Ok Hyoun-jin )
작문연구 41권 161-190(30pages)
UCI I410-ECN-0102-2019-800-001638729

의사소통 환경의 변화에 따라 디지털 리터러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소통 환경이 수평적·상호작용적으로 변모함에 따라 이해 능력뿐만 아니라 표현 능력의 중요성도 부각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의 표현 영역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 계획 수립을 위해 중학생들을 위한 교육 내용 요소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실제적이고 학습자 수준에 부합하며 교육적으로 중요한 내용 요소 도출을 위해 15명의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은 5개의 팀으로 나뉘어 디지털 기반의 텍스트를 생산하는 활동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의 과제 수행 과정에 대한 화면, 수행 중 주고받은 대화, 생산된 텍스트, 사후 면담 자료 등을 교차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표현 영역을 크게 설계, 제작, 공유의 세 범주로 구분하였으며, 다시 설계 범주를 수사적 맥락 고려하기, 배양하기와 창안하기, 조직하기, 제작 범주를 배치하기, 형상화하기, 편집하기, 그리고 공유 범주를 전파하기와 반응하기로 구분하였다. 각 하위 범주별로 수준을 위계화하기 위한 단서들을 찾고, 이 단서들을 토대로 중학생 단계의 성취기준을 제안하였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이 연구 결과를 교육과정, 교과서, 평가의 측면에서 반영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As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changes, the social interest in digital literacy is increasing rapidly. Especially, as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is changed horizontally and interactively, importance of expressive ability as well as understanding ability is emphas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content elements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to design a systematic education plan for the expression domain of digital literacy. Fifteen middle school students were experimented to develop appropriate and educationally important content elements. Students were divided into five teams and participated in activities to produce digital texts, and their practices on the screen, the dialogue exchanged during production, the produced text, an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expression domain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design, production, and sharing. Again, the design category is divided into three sub-categories(consideration of rhetorical context, cultivation and creation, organization), production into three sub-categories(placement, materialization and editing), and sharing into two sub-categories(dissemination and response). In the last part, we discussed ways to refl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terms of curriculum, textbook, and evaluation.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