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151.141
3.145.151.141
close menu
KCI 등재
베르디 가극 「일 트로바토레」의 원작에 나타난 여성혐오증 - 구티에레스의 「방랑시인」을 중심으로
The Misogyny of The Original Il Trovatore of Verdi - A Study on El trovador de Gutierrez
임주인 ( Lim Jouin )
세계문학비교연구 67권 107-138(32pages)
DOI 10.33078/COWOL67.05
UCI I410-ECN-0102-2019-800-001773432

이번 논문에서는 베르디 가극의 원작이 된 19세기 극작가 구티에레스의 「방랑시인」에 나타난 여성혐오증과 그로 인한 비극적 결말에 대해서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중세시대부터 이어져 온 마녀를 비롯한 여성과 사회 소수자에 대한 혐오증이 생겨나게 된 원인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여성혐오증에 대한 비판은 20세기 정통과 이단, 주류와 비주류의 대립구도가 갖는 경직성에서 벗어나 스페인의 문화와 역사를 새로운 관점에서 재해석하려는 움직임과 맥락을 같이 하게 됨을 발견하게 된다. 들뢰즈의 리좀적 사고를 분석에 활용해보면 타자성과의 화해 가능성을 모색하며 타자적 객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려는 태도를 황금세기와 19세기 일부 작가들에게서 찾아볼 수 있다. 알라르꼰과 구티에레스는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당시 집시나 소외계층에 대해서 스페인인들이 가지고 있던 여성혐오증에서 탈피하고자 하는 노력을 보여주고 있다. 집시여인 아수쎄나와 귀족태생인 만리께의 동거는 당시 유대인, 기독교도, 이슬람교도 등 서로 다른 문화와 종교를 지닌 다문화 공동체로 시작된 중세 역사의 반증이다. 강박관념에 가까운 순혈주의의 냉혹함에도 불구하고 차이를 뛰어넘는 타자와의 공생은 너 안에서 나를 찾는 변증법적 시각을 제시한다. 이러한 사상은 폐쇄된 이데올로기와 집단 이기주의, 이성 중심의 경직된 이분법적 사고가 소외와 고독을 부추겨왔음을 비판하는 입장과 타협과 공존에 근간을 둔 역동적인 역사 창조의 힘을 강조하는 상대주의적 시각이 그 근간을 이룬다. 이런 시각에서 볼 때, 아수쎄나와 만리께의 공생/동거는 사회적인 편견에서 벗어나서 역동적인 생명력이자 화해의 변곡점이라 할 수 있다.

Deleuze’s theory on Otherness shows that our true identity can only be established through reconciliation with them, allowing us to understand what we don't feel or the world. In the 20th century, some writers moved to reinterpret Spain's culture and history from a new perspective, breaking away from the rigidity of orthodox and heretical, mainstream and non-mainstream confrontation. Seeking the possibility of reconciling with their Others, they took the attitude of accepting the Other self as it was. Alarcon and Gutierrez, as seen earlier, show their efforts to break away from the misogyny and phobia about the marginalized. The coexistence of Azucena, a gypsy woman, and Manrique, her adopted son of noble birth, is a reflection of medieval history that began at that time as a multicultural community with different cultures and religions, including Jews, Christians and Muslims. Despite the coldness based on purity of blood, its symbiotic relationship with Otherness that transcends the difference offers an dialectical view of looking for me in you. These ideas are fundamental to the position of criticizing crushed ideology, collective selfishness, reason-oriented rigid dichotomy that has instigated alienation and solitude, and a relativistic view that emphasizes the power of creating a dynamic history based on compromise and coexistence. From this point of view, the symbiosis/ cohabitation of Azucena and Manrique serves as a dynamic life force and an inflection point of reconciliation away from social prejudice and phobia.

I. 들어가면서
II. 중세와 황금세기 문학 속에 나타난 여성혐오의 역사 및 배경
Ⅲ. 나가면서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