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244.44
3.144.244.44
close menu
KCI 등재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실험연구의 동향 및 질적 지표 분석
Analysis of Trends and Qualitative Indicators for Experimental Studies on the Social Interaction Effec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송미정 ( Song Mi-jung )
DOI 10.23944/Jsers.2019.06.58.2.5
UCI I410-ECN-0102-2019-300-001180329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연구동향 및 질적 지표를 분석하고 향후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연구의 방향과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최근 10년간(2008년부터 2019년 3월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발달 지체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효과 연구 중 분석대상으로 선정된 논문은 학술지와 학위논문 총 36편이었다. 이에 따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방법의 선별도구는 52종류중 사회성숙도가 17편으로 가장 많았고, 실험설계는 35편의 단일대상연구 중 대상자간중다 기초선설계가 17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1편의 집단연구에서는 사전·사후설계가 나타났다. 중재방법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것은 교실, 자유선택활동시간, 21-30회, 20분 미만, 연구자가 진행한 논문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상호작용 효과를 위한 중재전략은 음악활동 외 19종류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CEC(2014) 질적 지표 분석에서는 맥락과 환경, 참여자, 중재자, 독립변인, 중재충실도, 내적타당도. 종속변인 등 8가지 전 영역이 대체적으로 충족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효과를 위한 연구 동향 및 질적 지표에 대한 논의와 과학적 증거기반실제에 기초한 향후 후속연구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and qualitative indicators of social interaction effects of developmental delayed children and to provid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ocial interaction enhancemen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In the last 10 years (from 2008 to March 2019), there were 35 journals and graduate theses selected for the analysis of social interaction effects of developmental delayed children in Korea.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52 types of selection tools in the research methods, the social maturity was the highest with 17, and among the experimental design in 35 single subjects study,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was the highest with 17 , In the group study, which was only one, pre- and post-design appeared. Most of the intervention methods appeared in the classroom, free choice activity time, 21-30 times, researcher, less than 20 minutes. The intervention strategy for the social interaction effect showed that 19 kinds of programs other than music activities were used. Second, in the analysis of CEC (2014), it was found that the eight areas including the context and environment, participant, mediator, independent variable, mediation fidelity, dependent variable, and internal validity were satisfied in most cas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 trends and qualitative indicators for the social interaction effec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were discussed and future research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based practice was suggested.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부록> 분석대상논문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