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8.12.101
18.118.12.101
close menu
KCI 후보
비정규직 사회복지사의 조직공정성 지각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집단효능감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Justice Perceived by Atypical Social Worke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Collective Efficacy
김동기 ( Kim Dong-ki ) , 엄숙희 ( Eom Sook-hee ) , 이길준 ( Lee Gil-jun )
공공정책연구 36권 1호 147-173(27pages)
DOI 10.33471/ILA.36.1.7
UCI I410-ECN-0102-2019-300-001173579

본 연구는 비정규직 사회복지사가 지각하는 조직공정성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집단효능감의 매개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비정규직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을 제고시킬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제언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정규직 사회복지사의 조직공정성 지각, 즉 절차공정성, 분배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 지각은 모두 집단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정규직 사회복지사의 집단효능감은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집단효능감은 절차공정성, 분배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완전 매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결론에서는 비정규직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을 제고시킬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collective efficacy in the process of organizational justice perceived by atypical social workers impacting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o suggest practical atypical social worker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rganizational justice perceived by atypical social workers, ie, procedural justice, distribution justice, and interaction justice, all had a positive (+) effect on collective efficacy. Second, the collective efficacy of atypical social workers showed positi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inally, collective efficacy was found to play a role of full mediation in procedural justice, distribution justice, and interaction justice in the process of affect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to enh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atypical social worker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론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