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23.123
3.145.23.123
close menu
KCI 등재
한중, 중한 번역방향에 따른 명시화 ― 학부번역자의 번역과정 분석
Explicitation in Korean-Chinese & Chinese-Korean Translation: A Process Study of Undergraduate Trainee Translators
김혜림 ( Kim Haerhim )
중국언어연구 83권 133-164(32pages)
DOI 10.38068/KJCL.83.6
UCI I410-ECN-0102-2019-700-001659143

본 연구는 학부번역자가 중한번역과 한중번역 시 어떤 점을 문제로 인지하고, 어떤점을 문제로 인지하지 않은 채 명시화하며, 번역방향에 따라 어떠한 차이점과 공통점이 있는지 고찰하기 위해 번역과정 분석을 진행하였다. 번역과정 분석을 위해 번역자가 번역과정에서 맞닥뜨린 문제에 대한 기록, 해결과정에서 채택한 전략과 방법, 스스로 발전에 대한 평가 등을 자유롭게 작성하는 번역일지를 활용하였다. 분석 시 번역일지의 기재 내용에 따라 학부번역자가 문제라고 인지한 전략적 명시화, 문제로 인지하지 않은채 진행한 규범 지배적 명시화로 분류하고 구체적 양상을 관찰하였다. 분석 결과, L2→L1인 번역인 중한번역에서는 전략적 명시화가 다수를 차지한 반면, L1→L2 번역인 한중번역에서는 규범 지배적 명시화가 다수로 나타났다. 이는 학부번역자가 중한번역에서는 전략적으로 명시화하고, 한중번역에서는 규범 지배적으로 명시화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보면, 중한번역에서는 경험적 정보의 전략적 명시화가 두드러졌으며, 한중번역에서는 텍스트적 정보의 규범 지배적 명시화가 두드러졌다. 학부번역자는 번역방향에 상관없이 번역브리프에 제시된 예상 독자나 번역요청사항을 문제로 인지하고 경험적 정보를 구체화나 추가를 선택하였다. 하지만, 중한 번역 시 부자연스러운 직역 표현, 중국어 ST 복문 구조의 가독성을 문제로 인지하고 추가적으로 명시화하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텍스트적 정보 명시화는 한중번역에서 모든 사례가 규범 지배적 명시화로 나타나며 뚜렷한 규범 지배적 경향을 보였다. 학부번역자는 한중번역 시 문제로 인지하지 않은채 지시어나 접속사를 추가나 구체화하였다. 반면, 중한번역에서는 전략적 명시화와 규범 지배적 명시화가 혼재되어 나타났다. 대인적 정보 명시화는 중한번역에서 모든 사례가 규범 지배적 명시화였다. 중한번역은 전체적으로 전략적 명시화 빈도가 경험적 명시화 빈도보다 현저하게 높았으나, 대인적 정보만은 강한 규범 지배적 명시화 경향을 보였다. 학부번역자는 중한번역 시 문제로 인지하지 않은 채 강조어 추가 등 화자의 확신이나 주장의 정도를 강화하였다. 반면, 한중번역에서는 뚜렷한 전략적 또는 규범 지배적 경향이 관찰되지 않았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otivation for explicitation in Korean to Chinese translation and Chinese to Korean translation of undergraduate trainee translators 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wo translations. To this end, this study analyzes translation diaries. Translation diaries herein refer to a written record of problems and inquiries that occur during the translation process, solutions for those problems, and the reasoning behind the decisions made by trainees. The motivations of translation were classified into strategic explicitation and norm-governed explicitation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translation diaries.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strategic explicitation is the most common in Chinese to Korean translation, while norm-governed explicitation is the majority in the Korean to Chinese translation. Specifically, strategic explicitation of experiential information is prominent in the Chinese to Korean translation, and norm-governed explicitation of textual information is prominent in the Korean to Chinese translation. Regardless of the translation direction, undergraduate trainee translators add or specify experiential information strategically in consideration of the request of the translation brief or the background knowledge of TT readers. However, in Chinese to Korean translation, there are further strategic explicitations when literal translation is awkward or translation of Chinese complex sentence is unreadable. Textual information explicitation shows a distinct norm-governed tendency in Korean to Chinese translation. Undergraduate trainee translators add or specify demonstratives or conjunctions without being aware of the problem during Korean to Chinese translation. On the other hand, in Chinese to Korean translation, both strategic and norm-governed explicitations account for a similar proportion. All cases of the interpersonal information explicitation in Chinese to Korean translation is norm-governed, the frequency of strategic explicitation in Chinese to Korean translation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governed explicitation as a whole, but only the interpersonal information explicitation shows a strong norm governed tendency. Undergraduate trainee translators strengthen the speaker’s degree of confidence or argument by adding an emphasis without recognizing it as a problem in Chinese to Korean translation. On the other hand, no clear strategic or norm-governed tendency is observed in Korean to Chinese translation.

1. 머리말
2. 번역 명시화
3. 연구방법
4. 분석결과
5. 맺음말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