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236.174
18.191.236.174
close menu
KCI 등재
비자살적 자해와 극복과정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상담경험이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A qualitative study on the process of nonsuicidal self-injury and recovery among adolescents with counseling experiences
서미 ( Seo Mi ) , 김지혜 ( Kim Jihe ) , 이태영 ( Lee Taeyoung ) , 김은하 ( Kim Eunha )
상담학연구 20권 4호 179-207(29pages)
UCI I410-ECN-0102-2019-300-001173024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비자살적 자해경험이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상담을 통해 자해를 극복하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소 6개월 동안 자해를 했고, 상담을 받은 경험이 있는 15~24세의 중기·후기 청소년 8명을 심층면접한 후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자해행동의 중심현상은 ‘다양한 기능을 가진 자해행동’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의 인과적 조건으로는 ‘스트레스, 부정정서 및 감정억제’가 나타났고, 맥락적 조건으로는 ’가족의 무관심과 방관적인 태도’, ‘부모의 학대’, ‘상담에서의 부정적 경험’, ‘위기상담시스템의 부족’이 확인되었다. 또한 중심현성의 중재적 조건은 ‘자해 행동의 부정적 측면 인식’, ‘성격적 강점’, ‘변화에 대한 욕구와 믿음’, ‘공감과 지지’, ‘긍정적 상담경험’, ‘스트레스로부터 벗어남’이 나타난 반면 작용 및 상호작용은 ‘합리적이고 긍정적인 생각’, ‘상담 신청’, ‘사회적 지지체계 구축’으로 나타났다. 자해극복과정을 분석 한 결과, 자해극복과정에는 ‘자해행동 중단’, ‘긍정적인 스트레스 대처방안’, ‘긍정적인 자기 개념’ ‘자기 수용’의 과정이 포함되었고, 자해를 극복한 후에도 ‘부정정서와 자해행동이 재발’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에 대한 상담 및 치료적 개입에 대한 함의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recovery process through counseling among adolescents with non-suicidal self-injurious behaviors. For this, we interviewed 9 mid-to-late(aged 15~24) adolescents who had harmed themselves for at least six months and received counseling service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grounded theory methodolog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entral phenomenon was ‘self-injurious behaviors with multiple functions’. Casual conditions for this phenonenon included ‘stress, negative affect, and emotional suppression’ while contextual conditions included ‘lack of family attention and family neglect’, ‘abusive parents’, ‘negative counseling experiences’, ‘lack of crisis counseling intervention system’. For intervening conditions, ‘recognizing negative aspects of self injury’, ‘personality strength’, ‘needs and belief of changes’, ‘empathy and support’, ‘positive counseling experiences’, ‘moving away from stressors.’ In addition, action/interaction conditions were ‘rational, positive thinking’, ‘seeking counseling’, ‘development of social support networks.’ Analysis on the recovery process revealed that it involved ‘stopping self-injurious behaviors’, ‘positive stress coping strategies’, ‘positive self-concept’, and ‘acceptance of the self’ and that even after recovery from self-injury behaviors, ‘negative affect and relapses of self-injury behaviors’ could occur. Based on these findings, we provided clinical implications for adolescents’ self-injurious behaviors.

서 론
방 법
결 과
논 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