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8.252.8
13.58.252.8
close menu
KCI 등재
중세한국어에서 목적어에 결합하는 ‘로’에 대하여
A Study on the ‘ro’-marked Object in Middle Korean
김태우 ( Kim Taewoo )
인문논총 76권 3호 101-128(28pages)
UCI I410-ECN-0101-2019-000-001003726

중세한국어에는 세자리 서술어의 [대상] 논항에 부사격 조사 ‘로’가 표지될 수 있었다. 여기에서 [대상] 논항이란 물리적 또는 추상적 이동의 대상이 되는 개체를 뜻하는 것으로 위치 이동, 수여, 발화, 전환, 사유 동사 등이 [대상] 논항을 필요로 한다. 이때 ‘로’는 반드시 [수혜자, 도달점] 논항에 선행하여야 하며 한문 원문 以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以가 없더라도 목적어가 전치되어 있는 경우, 이 목적어에 ‘로’가 표지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현대한국어에는 없는 것으로 두 가지 방향으로 설명을 시도하였다. 첫째, 이를 비정형적 목적어 표지 현상으로 보는 것이다. 세계 여러 언어에서는 서술어의 의미에 따라 목적어의 격표지가 바뀌는 현상이 존재하는데, 중세한국어도 이와 같은 유형의 언어로 보는 것이다. 그러나 다른 언어의 비정형적 목적어 표지와는 다르게 ‘로’는 대격 표지로 자유롭게 교체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고려한다면, 이 ‘로’를 전치된 목적어의 유표성을 표시하기 위해 이용된 표지로 볼 가능성도 있다. 이때 ‘로’는 도구격 조사로 서술어의 행위를 한정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현대한국어 동남방언과 동북 방언의 일부에서 대격 표지가 ‘로/르’로 실현된다. 이들은 각 방언에서 대격 조사 ‘을/를’이 음운 변화를 겪어 형성된 형태로, 중세 한국어의 [대상] 논항에 표지되는 ‘로’와는 전혀 관계가 없는 요소이다.

The oblique case marker ‘ro’ can mark the [THEME] argument of ditransitive sentences. The [THEME] argument refers to an entity that undergoes physical or mental transfer. Movement verbs, give-type verbs, say-type verbs, converse-type verbs, and mental activity verbs require a [THEME] argument as a direct object. In this case, the ‘ro’-marked direct object must precede a [RECIPIENT, GOAL] argument. The Old Chinese character 以 highly influences the ‘ro’ marking on the [THEME] direct object of ditransitive sentences in Middle Korean. However, although there is no 以, as long as the direct object is preposed, ‘ro’ can mark the direct object. We cannot observe this in Present Day Korean. The ‘ro’ marking can be explained in two ways. First, we can view ‘ro’ object marking as a differential object marking. The differential object marking, the alternation of case markers according to the meaning of predicates, is widespread cross-linguistically. But, the detailed features of ‘ro’ object marking is slightly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languages. Considering the difference as crucial, we can regard it as a markedness marking strategy. This construction seems to be the borrowing from the Old Chinese, and under this view, ‘ro’, as an instrumental marker, delimits the meaning of a verb. Meanwhile, there are accusative marker ‘ro/ri’ in a few dialects in Present Day Korean. This marker stems from the accusative marker ‘il/ril’ through sound change and morphological change, and is not related to the Middle Korean direct object marker ‘lo’ which we discussed so far. The homophony is only a coincidence.

1. 서론
2. 목적어에 결합하는 ‘로’
3. 목적어에 결합하는 ‘로’의 성격
4. 현대한국어 방언의 ‘-로’와의 관련성
5.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