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88.40.207
18.188.40.207
close menu
KCI 등재
김사량과 독일문학
Kim Sa-ryang and German Literature
장문석 ( Jang Moon-seok )
인문논총 76권 3호 169-212(44pages)
UCI I410-ECN-0101-2019-000-001002032

이 글은 김사량 문학과 독일문학의 관계를 세 가지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김사량의 비평과 독일문학, 김사량의 창작과 교양소설의 형식, 김사량의 실천과 혁명. 첫째, 김사량은 ‘조선어의 위기’ 앞에서 조선문학의 정체성에 관한 비평을 제출하였다. 당시 일본의 문학연구자들은 독일과 일본을 같은 위치에 두었지만, 김사량은 서구와 비서구의 낙차를 응시하면서, 독일 문학의 역사전 전개에 유비(analogy)하여서 조선문학의 현단계를 진단하였다. 그는 동시대 조선문학을 독일의 계몽주의로 이해하면서, 조선어와 문학의 전통을 형성할 ‘조선의 괴테’의 출현을 기다렸다. 그는 조선문학이 외국문학의 수용을 통해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하기를 기대하였으며, 나아가 번역이라는 실천을 통해 일본문학 및 세계문학과의 교류를 기대하였다. 둘째, 김사량은 창작을 통해서 서구적 형식과 동아시아 현실 사이의 거리를 고민하였다. 「빛 속으로」(1939)가 아쿠타가와 상 후보작으로 선정되면서 김사량은 도쿄에서 작가로서 명성을 얻었지만, 그는 타이완 작가 룽잉쭝(龍瑛宗)에게 이 소설에 대한 불만을 표현하였다. 「빛속으로」는 학교라는 제도적 공간과 남성동성사회를 배경으로 한 학생의 성장과 우정을 주제로 하고 있는데, 그것은 당시 일본에서 널리 읽혔던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을 비롯한 ‘후기 교양소설’의 형식과 유사한 것이었다. 김사량의 「빛 속으로」는 서구적 형식과 비서구의 현실이 결합한 비서구 근대문학의 전형적인 사례이다. 그러나 교양소설은 서구 근대 부르주아의 이동성 및 직선적 역사의식에 근거한 소설의 양식이지만, 비서구-식민지라는 이중구속 아래에 있던 김사량에게 자아와 사회의 조화로운 성숙이라는 ‘교양’(Bildung)의 이념은 불가능하였다. 이후 김사량은 「천사」(1942)에서 직선적 시간의식을 정지하고, 전시체제기의 현재로부터 추방당한 ‘과거’, 혹은 조선적인 것과 종교적인 것으로부터 구원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셋째, 김사량은 문학과 혁명의 관계에 대해 고민하고 실천하였다. 김사량은 하이네를 조국을 사랑했기 때문에 망명하여 독일 비판을 수행한 작가로 이해하였다. 그는 하이네의 문학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졌지만, 검열로 인해 하이네의 문학에 대해 충분히 서술하지 못하였다. 1945년 중국 옌안으로 탈출한 이후, 김사량은 문학과 혁명의 관계를 근본적으로 재사유할 수 있었다. 옌안에서 그는 동아시아 민중문학의 전통과 대면하였으며, 지식인이 아니라 민중이 주체가 된 문학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옌안에서 김사량은 희곡을 창작하였는데, 그의 희곡창작은 비서구의 현실로 서구적 형식을 탈구축할 가능성을 탐색한 사례였다. 도쿄제국대학에서 독일문학을 전공했던 비서구 작가 김사량의 문학적 실천은 민중의 삶에 유의한 동아시아문학이라는 중간결론에 닿게 된다. ‘김사량과 독일문학’이라는 논제는 동아시아의 근대와 서구문학의 관계 설정이라는 추후의 과제를 남긴다.

This paper argu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s of Kim Sa-ryang and the German Literature regarding the following three aspects; the literary criticism of Kim Sa-ryang and the German literature, his writings and the form of the Bildungsroman, and his praxis and the revolution. First, Kim Sa-ryang posited the identity of the literature of the colonial Chosun in the face of the crisis of the language of the colonial Chosun. While the literary scholars of Japan put Japan and Germany in the same position, Kim Sa-ryang dignosed the present stage of the literature of the colonial chosun by the analogy with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German literature regarding a gap between the western and the non-western. He waited for the presentation of “Goethe of the colonial Chosun” considering the literature of the colonial Chosun at that time through the lends of German enlightenment. He expected the formation of the new identity of the Chosun literature by accepting the foreign literature, and a literary exchange between the literature of the colonial chosun and the Japanese literature and the world literature by the praxis of the translation. Kim Sa-ryang was concerned about the distance between the reality of East Asia and the form of the west through his writings. He expressed his discontentment with his novel to the Taiwanese writer Long Yingzong although he earned his fame as a writer in Tokyo when his work “Into the Light”(1939) was nominated for Akutagawa Prize. “Into the Light” was about the friendship and growth of a student in the context of a school as the institutional space and thmale-dominated society, which was simliar to the form of the late Bildungsroman including Demian of Hermann Karl Hesse earned a broad readership in Japan. “Into the Light” of Kim Sa-ryang was the representative novel of the modern literature in the non-West in terms of the form of the novel; its western form was in combination with the reality of the non-West. The Bildungsroman as a form of the novel was centered around the mobility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of western modern Bourgeois. However, Kim Sa-ryang was in the double bind as a non western-colonial writer. Given that, it was impossible for him to achieve the ideal of “Bildung”; the aim of the “Bildung” is to achieve maturity in harmony with one's self and society. Afterwards, Kim Sa-ryang explored the possibility of salvation from the religion and the Chosun or the past banished from the present during the wartime while he put an end to having a sense of consciousness of the lineal time in his work “Angel”(1942). Third, Kim Sa-ryang performed his literary act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terature and revolution. Kim Sa-ryang understood Heine as a writer who criticized Germany in his exile for love of his country. Even though he kept interested in the works of Heine, he could not fully elucidate the works of Heine because of the censorship. After escaping to Yenan in China in 1945, Kim Sa-ryang was able to reconsider the rela 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revolution fundamentally. In Yenan he confronted the tradition of the folk literature in East Asia, and he discovered the possibility of literature whose subject was not the intellect but the folk. In Yenan, Kim Sa-ryang wrote his play, and his play is the representative work explores the possibility to deconstruct the western literary form with the reality of the non-West. The literary praxis of Kim Sa-ryang as the non-western writer who studied German literature in Tokyo Imperial University culminated in the East Asian Literature with a focus on the life of the folk. The topic of “Kim Sa-ryang and German Literature” leaves a further task of establishing a relationship between modernity of East Asia and Western literature.

1. 문제 제기 ― 김일성종합대학 문학부 강사 김사량의 이력서
2. ‘조선’의 괴테를 기다리며 ― 1930년대 후반 비평과 ‘독일문학
3. 교양과 구원은 어디에서 오는가 ― 「빛 속으로」와 「천사」 를 중심으로
4. 동아시아적 계기를 통한 서구문학의 탈구축 가능성 ― 혁명, 민중, 그리고 문학
5. 결론을 대신하여 ― 동아시아의 근대와 서구 문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