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109.5
3.144.109.5
close menu
KCI 등재
식민지근대에 복권된 양명학 ― 정인보의 『양명학연론』은 다카하시의 조선유학사에 대한 대항인가?
Revitalized Yangming School in Colonial Modernity: Is Jung Inbo’s Yangmyeonghak Yeonron Countering Takahashi’s History of Korean Thoughts?
이혜경 ( Yi Hye Gyung )
인문논총 76권 3호 213-250(38pages)
UCI I410-ECN-0101-2019-000-001003913

이 논문은 정인보의 양명학을 제국 일본의 ‘근대양명학’과 관련해서 논의했다. 도쿄제국대학의 교수 이노우에 데츠지로는 ‘주자학에서 양명학으로’라는 틀로 일본양명학이 근대일본을 열었다는 서사를 만들었다. 경성제국대학 교수 다카하시 도루는 이노우에의 유학이해를 조선연구에 적용해 조선을 주자학 일존의 정체된 사회로 규정하였다. 이 논문은 정인보의 양명학 현창이 다카하시에 대한 비판이며 동시에 이노우에의 ‘주자학에서 양명학으로’의 틀을 답습한 것임을 논했다. 그러나 이노우에와 달리 정인보는 그 자신이 양명학자로서, 그에게 ‘주자학에서 양명학으로’는 참된 유학을 회복하는 일이었다. 또한 그에게 참된 유학을 회복하여 자신에게 가깝고 절실한 민족의 안위를 걱정하는 학문은 그대로 조선학이 되고 실학이 된다. 그는 이노우에와 마찬가지로 양명학을 민족적으로 전유했으나, 양명학의 보편성을 훼손하지 않고 ‘친친지쇄’를 강조하는 수준에서 민족주의를 자극하였다.

This paper argues that Jung Inbo’s Yangming Studies are related to imperial Japan’s ‘modern Yangming school’. Professor Inoue Tetsujiro of Tokyo Imperial University formed the narrative that Yangming Studies in Japan was opened in modern Japan within the framework of “from Zhuxi School to Yangming School”. Takahashi Toru, Professor of Keijo Imperial University, applied Inoue’s understanding of Confucianism to Korean studies, and defined Korea as “the stagnant society of Zhuxi School monotheism”. This paper argues that Jung Inbo’s award of Yangming School is a criticism of Takahashi, and at the same time follows the framework of Inoue’s “from Zhuxi School to Yangming School”. However, unlike Inoue, Jung himself was a Yangmning Confucian scholar; from him, therefore, “from Zhuxi School to Yangming School” was a restoration of true Confucianism. In addition, for him, a study that worries about the safety crisis of a near-familiar nation is to be Korean studies (朝鮮學) and Sincere Studies (實學). Although he used the study of Yangming as well as Inoue, he did not undermine the universality of Yangming School and stimulated nationalism with emphasis on “decreasing measures of the love due to relatives”.

1. 문제제기: 일본발 동아시아의 ‘근대양명학’과 ‘국학’
2. 일본 근대양명학의 등장: ‘주자학에서 양명학으로’
3. 다카하시 도루의 주자학중심의 조선유학사
4. 『양명학연론』의 등장: 강화학의 계승인가? ‘근대양명학’의 시작인가?
5. 조선학으로의 길
6. 맺는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