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7.150.163
3.17.150.163
close menu
KCI 등재
한·일 여성문학과 전쟁협력 -최정희와 하야시 후미코(林芙美子)의 작품을 중심으로-
Korean and Japanese Female Writers and Cooperation on War : focused on the works of Choi, Jeong hee and Hayasi Humiko
서영인 ( Seo Young In )
한국언어문화 69권 117-140(24pages)
UCI I410-ECN-0102-2019-700-001667738

본 연구는 ‘동아시아 여성의 전쟁협력’의 논리와 양상을 밝힌다는 목표 아래한·일 여성문학에서의 전쟁협력의 문제를 검토하고자 한다. 한일 전쟁협력의 대표적 여성작가라 할 수 있는 최정희와 하야시 후미코를 주요 대상으로 하며 검토의 시기는 전쟁기 전쟁협력의 과정뿐 아니라 전후의 작품 활동을 통한 기억의 정치, 통치 이데올로기와의 합류지점까지 포함한다. 여성 작가의 정체성을 이루는 공통적 기반으로 본 연구는 ‘타자성’에 주목했다. 하야시 후미코와 최정희는 구체적 양상은 다르지만 생존의 위기에 놓인 가난, 가부장적 질서와 길항하는 여성성의 위치 등을 통해 현실에 대한 타자적 인식의 근거를 확보했다. 전쟁협력 시기에 이들의 여성성은 이러한 타자성을 국가주의 담론에 합류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하야시 후미코가 직접 전장에 참여함으로써 여성적 타자성을 거세하려 했다면 최정희는 후방에서의 여성의 역할을 적극 강조하는 방식으로 그 타자성을 국가 내 신민으로서의 위치로 전환하려 했다. 전후(戰後)의 문학에서 한편으로 전쟁협력의 기억을 자의적으로 재구성하는 과정, 다른한편으로 이 기억을 전후 국민국가 건설의 통치 이데올로기에 합류시키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두 작가는 모두 전쟁의 기억을 ‘뜬구름’, ‘유전(流轉)하는 인간사(人間事)’로 이미지화함으로써 과거의 이력을 왜곡한다. 또한 여성 인물은 과거의 속죄와 처벌을 위해 소비되거나 또는 전쟁의 기억을 향수(鄕愁)로 전환하는 감상적 주체가 된다. 한일 양국의 여성작가들이 보여준 전쟁협력의 경로와 그 기억의 정치학은 탈식민의 가능성이 여성성/타자성의 구체적 관점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음을 역설적으로 보여준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reveal the logic and aspect of ‘East-Asian women’s war-collaboration,’ scrutinizing war-collaboration of Korean and Japanese female writers. The best-known collaborative writers are Choi, Jeong hee and Hayashi Humiko(林芙美子). This research covers not only their collaborative process of wartime, but also politics of memories through artwork activities in postwar time and their confluence to the governing ideologies. This research focuses on ‘otherness’ as a common foundation of female writer’s identity. Although there are small differences in concrete aspects between them, both Choi and Hayashi secure the ground of awareness through life-threatening poverty, location of feminity contending with the patriarchal order. Their feminity operate in the way that otherness is united with nationalism discourse for a period of war-collaboration. While Choi tries to convert female otherness into a subject of a nation in the way that she emphasize the role of woman at the rear, Hayashi strives to castrate female otherness by participating in the battlefield. The process of arbitrary reconstruction of the memories of war-collaboration and the confluence of these memories to the governing ideologies for the postwar nation-state construction is confirmed in their works of postwar period. They distort their past career by imaging memories of war as ‘floating clouds’ or ‘wandering human affairs.’ In addition, female characters become ‘sentimental subject’ for redemption and punishment or homesickness for the memories of war. The path for war-collaboration and its politics of memories these female writers showed in their works paradoxically demonstrate that possibility of decolonization can be realized through the specific aspect of feminity/otherness.

1. 서론
2. 타자적 위치로서의 여성성
3. 생존의 논리와 전쟁협력의 경로
4. 기억의 정치학과 전후의 통치 이데올로기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