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3.121.160
3.133.121.160
close menu
KCI 등재
생활도자기에 사용된 코발트 안료의 청화색 비교분석 - Blue 계열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on Chunghwa of Cobalt Pigment used in Ceramic Tableware - With a focus on the Blue
백인교 ( Inkyo Back ) , 이윤진 ( Younjin Lee )
한국디자인포럼 64권 11-20(10pages)
UCI I410-ECN-0102-2019-600-001693559

연구배경 세계 도자기 역사에서 청화백자는 도자기에 색을 표현할 수 있는 대표적인 상징으로 표현될 수 있다. 청화는 개발된 당시에 획기적인 채색방법으로 도자기 채색의 필수적인 기법이 되어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판매되고 있는 생활도자기에 사용된 청화색을 정량적으로 측색하고 분석하여 청화색의 기초자료를 구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현장측색이 가능한 생활도자기 브랜드인 한국도자기, 행남자기, 로얄 코펜하겐, 덴비, 로스트란드, 지앙의 6개의 브랜드를 선정했다. 선정된 제품들을 라인별로 구분하여 KS A 0011(물체색의 색 이름)에 따라 청화색을 육안으로 분류한 후, 측색값을 바탕으로 CIELAB 색공간을 활용하여 색상과 명도, 채도의 분포도로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제품은 a*의 빨간색 방향과 b*의 파란색 방향 사이 부분에 분포하며, KS 표준 색상범위인 BG, B, PB의 범위에 속했다. 또한 측색된 제품들은 대부분은 저명도 저채도의 청화색조이지만 중채도와 고채도의 넓은 색조분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결론 본 연구를 기초자료로 도자 산업에도 한국 산업 규격을 적용하여 한국의 도자기산업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고, 한국의 생활도자기 브랜드의 색채계획과정에서 활용되어 청화색의 현대적인 색채계획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브랜드만의 독자적인 브랜드 색을 가질 수 있어 새로운 청화색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기대해본다.

Background In the history of ceramics around the world, the blue-and-white porcelain can be represented as a representative symbol of color in ceramics. Chunghwa was a groundbreaking method of coloring at the time when it was developed, and has become an essential technique of ceramics coloring, and continues to this d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color and analyze the chunghwa colors in the ceramic tableware currently on the market to establish basic data on the colors. Methods We selected the six ceramic tableware brands whose products’ colors can be measured on the spot: Korean porcelain, Hangnam porcelain, Royal Copenhagen, Denby, Rostrand and Gien. The products were visually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KS A 0011, and their Hue, Lightness, and chroma were compared based on the color values using the color space of CIELAB. Result The result showed that most of the products were distributed between the red direction of a* and the blue direction of b* and fell within the scope of the KS standard color range of BG, B and PB. Also, although many of the products had low lightness and chroma, some of them had a wide distribution from medium to high chroma. Conclusion Based on this study, the standard of Korean industry can also be applied to the ceramics industry as basic data of Korea, and the direction of modern color planning of chunghwa can be set by utilizing it in the color planning process of the Korean ceramic brand. Also, we expect the data provided in this study will help ceramic Tableware brands to develop a new chunghwa color.

1. 서 론
2. 이론적 고찰
3. 분석 및 결과
4. 결 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