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9.132.223
18.119.132.223
close menu
KCI 등재
레지오페라시대의 고전오페라 텍스트 해석의 문제: 드미트리 체르냐코프의 『루슬란과 류드밀라』(2011)를 중심으로
On the problem of interpretation of classical opera text in the era of Regieopera: An analysis based on D. Tchernyakov’s production of M. Glinka’s “Ruslan and Ludmila” (2011)
朴仙英 ( Park Sun Yung )
중소연구 43권 2호 253-286(34pages)
UCI I410-ECN-0102-2021-300-000297420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이 글은 러시아의 대표적인 레지테아터 연출가인 드미트리 체르냐코프의 프로덕션을 통해 러시아의 고전오페라 『루슬란과 류드밀라』의 텍스트 해석의 문제에 대해 숙고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론에 들어가기에 앞서 서론에서는 레지오페라의 탄생 배경과 발전과정을 추적한 뒤 레지오페라와 해석의 문제에 대해 논의한다. 본론에서는 연출가 체르냐코프가 2011년 볼쇼이 극장 재개관 첫 프로덕션으로 무대에 올린 『루슬란과 류드밀라』를 통해 푸슈킨의 서사시 텍스트와 글린카의 오페라 텍스트를 어떤 방식으로 재해석하고 있는지 살펴보면서 비현실적 동화 텍스트에서 현실적 역할극 텍스트로 전환되는 과정을 추적한다. 또한 현대의 관객을 극에 몰입시키기 위한 장치(미장센의 현대화)와 관객을 극으로부터 소외시키기 위한 장치(극장성 노출)가 병치되어 연출상의 아이러니가 발생하고 있음을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레지오페라시대 연출가의 위상과 역할에 대해 논의하는 한편, 진정한 연출가의 임무에 대해 텍스트 해석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problem of interpretation of text in a Russian classical opera “Ruslan and Ludmila” staged by a famous Russian opera director Dmitri Tchernyakov. In the introduction, the author of this article has examined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Regieopera, i.e. Regitheater opera, and has discussed the problem of the interpretation in Regieopera. This article traces, how Tchernyakov transformed unrealistic fairy tale text of A. Pushkin and M. Glinka to realistic role-playing text, by analyzing the production of “Ruslan and Ludmila” presented by Tchernyakov in the Bolshoi Theater in 2011 as a first opera production for reopening celebration after a long restoration of theater. In addition, it is observed that the irony of directing methods occurs due to the juxtaposition of a device for immersing the modern audience (the modernization of the mise-en-scene) and a device for the audience exclusion (the exposure of theatricality). Finally, in the conclusion, the author of this article has discussed the role of the opera director in the era of Regiopera.

Ⅰ. 들어가며: 레지오페라와 해석의 문제
Ⅱ. 체르냐코프의 『루슬란과 류드밀라』(2011): 푸슈킨 텍스트와 글린카 텍스트의 재해석 양상
Ⅲ. 나오며: 연출가는 해석자인가 창작자인가?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