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8.36.141
13.58.36.141
close menu
KCI 등재
응우옌 왕조의 만상(萬象) 대응 추이: ‘속국’ 방기와 영토 획득
Nguyễn Dynasty’s Decisions towards the Vạn Tượng Kingdom: Abandoning of a Fiefdom, Gaining of a Piece of Land
최병욱 ( Choi Byung Wook )
UCI I410-ECN-0102-2021-900-000298127

19세기 전반 가장 능동적이고 영예로운 라오 지배자로 평가되는 짜오 아누는 샴인들에게 가혹한 고문을 당했다. 그리고 방콕의 거리 한쪽에서 철창 안에 갇힌 채 마침내 숨을 거두었다. 베트남의 황제는 자기에게 도움을 요청하며 샴의 개입에 저항하려 했던 이 가련한 만상의 왕을 보호하기 위한 군대를 끝내 동원하지 않았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베트남 민망 황제가 왜 짜오 아누의 호소에 귀를 기울이지 않았는지 그 이유를 궁구한다. 민망 황제는 그런 태도를 보일 수밖에 없었던가? 어떻게 민망 황제는 자신의 의무를 회피했던가? 무엇이 그 결과였던가? 만상은 19세기 제국의 지배자인 베트남 황제들에게 중요한 조공국으로서 베트남 황제들의 권위를 받쳐주는 기능을 했다. 제국에게 충분한 숫자의 조공국을 갖는다는 건 필수적이었다. 조공을 받는 대신 황제는 그의 왕들을 보호해야 할 책무를 갖게 되었다. 짜오 아누가 도움을 요청하자, 처음에 베트남 황제와 그의 관료들은 충실한 후원자가 되고자 했다. 그런데 만상의 한 조공국 수장으로서 씨엥코앙 지역을 지배하고 있던 짜오 노이가 베트남에 지원을 요청했다. 민망의 생각이 바뀌었다. 그는 씨엥코앙이 과거 베트남의 쩐닌 지역이라 간주하고서 라오의 씨엥코앙을 베트남의 땅으로 바꾸려는 일에 주의를 기울이기 시작했다. 짜오 아누는 버려졌다. 이 글에서 논해지는 또 한 가지의 문제는 소위 조공국에 대한 베트남의 인식이다. 베트남 조정에 조공을 바쳤다는 나라들, 즉 베트남이 속국이라고 인식했던 나라들에 대해서 베트남이 조공국 내지 속국 왕의 임명권을 갖는다는 걸 의미하지는 않았다. 만상이 자롱, 민망 시기에 조공을 바쳤다고 하지만 두 황제가 만상의 왕들에 대한 임명권을 갖지는 않았다는 말이다. 만상 왕에 대한 통제권은 태국에 있었고 베트남도 그것을 인정하고 있었다. 베트남이 19세기 전반에 배타적 종주권을 행사하고 있던 나라는 캄보디아뿐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공국이라는 지위가 베트남 제국의 번병으로서 영원한 생존권을 보장하는 건 아니었다. 결국 캄보디아도 베트남의 일부로 합병되었다. 19세기 베트남 황제들에게 조공국은 앞으로 자기 영토의 일부가 될 후보지였을 뿐이었다.

Chao Anu, the most active and honorable Lao leader in the 19th century, was severely tortured by the Siamese, and eventually died in an iron cage located in the corner of the Bangkok streets. The emperor of Vietnam never used his military power, in reality, to protect this miserable king of Vạn Tượng who had been eager to gain Vietnamese support to resist Siamese intervention. This article argues the reasons for Minh Mạng not to listen to Chao Anu’s appeal. What did make Minh Mạng do so? How did Minh Mạng skillfully avoided his responsibility? What was the consequences? Vạn Tượng had been an important tributary country and the function of Vạn Tượng was very important to the Vietnamese emperor who claimed that he was the owner of the Việt Nam empire. To be an empire, to have enough tribute kingdoms was necessary. In turn, emperor had to protect his kings. From my point of view, however, Minh Mạng paid more attention to the land than to the loyalties of the kingdoms. In the beginning he and his officials had the same opinion to be the faithful patron of Chao Anu. As soon as Chao Noi, a chief of the Vạn Tượng kingdom in the region of Xieng Khoang asked the support of Vietnam, Minh Mạng changed his mind. He regarded the Xieng Khoang was the former Trấn Ninh area of Vietnam, and he paid more attention to the job to change the Lao Xieng Khoang area to the land of the Vietnam. Chao Anu was left alone. This article also deals with more evidence for the reality of Vietnamese view of the tributary countries. The countries that were regarded by the Vietnamese court to have had paid tributes did not mean the Vietnamese emperors had right to appoint the kings of so-called the tribute countries. We have very enough evidence that Vạn Tượng paid tributes to the emperors of Gia Long and Minh Mạng, while the Vietnamese emperors had no rights to appoint the Vạn Tượng kings who had been the subjects of the Siamese rulers. Only Cambodian kings were under the exclusive control of Vietnam. But the destination of the tribute kingdom was not a permanent survival. Eventually Cambodia was annexed into the territory of Vietnam. To the eyes of Vietnamese emperors in the 19th century, tributary countries were nothing but the candidates for one part of the Vietnamese territory.

Ⅰ. 머리말
Ⅱ. ‘만상’의 이미지
Ⅲ. 짜오 아누 지원
Ⅳ. 쩐닌으로의 진출
Ⅴ. 맺음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