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38.141.202
3.138.141.202
close menu
KCI 등재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한국 언론의 동남아 담론 분석
An Analysis of Southeast Asian Discourse in Korean Media Using Text-Mining Method
김희숙 ( Kim Hee Suk )
UCI I410-ECN-0102-2021-900-000298152

이 연구는 1990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의 6개 언론사 일간지를 통해 생산된 동남아 관련 기사들의 시기별, 지면 영역별 특징을 빅데이터 분석 방법의 하나인 텍스트 마이닝 기법으로 분석해 보았다. 대중의 인식을 유도하고 특정한 관점을 생성해낸다는 점에서 언론에 의해 생산된 기사들은 그 자체로 담론의 성격을 지닌다. 이에 본 연구는 동남아와 관련하여 한국 언론이 생산해낸 주도적인 담론을 ‘동남아 담론’으로 보고, 그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동남아 관련 기사들에 대한 어휘 빈도와 어휘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약 30년간 한국 언론이 생산해낸 동남아 담론에 대한 지면 영역별 기사 수의 추이와 시기별 특징을 분석한 결과 한국의 대중에게 전달된 동남아 관련 기사들이 주로 국제 및 경제, 문화 영역에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한국의 언론 담론 속에서 동남아가 중국과 미국, 일본 등의 강대국들이 주요 행위자로 등장하는 국제관계의 맥락에서 주로 경제적 관계와 관련하여 주시되어왔음을 보여준다. 특기할 만한 현상은 정치면 기사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을 뿐 아니라 내용 면에서 동남아 자체의 정치가 아닌 남북한 관계를 중심으로 다루어져왔다는 점이다. 전체시기에 걸쳐 ‘북한’은 정치면 기사 고빈도 어휘목록에서 1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동남아가 남북한 외교의 각축장으로서 주시되어 왔음이 확인된다. 또한 언론의 동남아 공간 담론에서 발견되는 또 다른 사실은 한국과의 경제적 관계 비중이 높은 일부 국가들에 대한 편중성이 크다는 점이다. 이러한 현상은 동남아 연구의 대상 지역이 점진적으로 확장되어온 사실과 일정 정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언론 및 대중 담론과 학술 담론 사이에 간극이나 지체는 없는지를 살펴 이와 같은 편중성을 극복하는 것이 한국 동남아학계의 과제로 남았다.

This study analyzed newspaper articles about Southeast Asia, produced by 6 Korean daily newspapers from 1990 to 2018, using text mining technique which is one of big data analysis method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Southeast Asian discourse produced by Korean media over the past 30 years, articles related to Southeast Asia have mainly focused on international and economic areas. These results show that Southeast Asia has been approached mainly in relation to economic aspects in Korea's media discourse (in the context of international relations in which major powers such as China, America, and Japan are emerging as major actors). Next, the articles in the cultural section also accounted for a relatively high proportion. Among the articles on culture, travel and tourism were predominant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reflecting the reality that Southeast Asia has become a major destination for Koreans to travel abroad since the liberalization of overseas travel in the late 1980s. Meanwhile, since the 2000s, it has been confirmed that 'Hallyu' and related vocabulary are emerged as a high frequency vocabulary in the cultural section, which is interpreted as reflecting economic interest in Korean Wave rather than culture itself. A remarkable phenomenon in the analysis of the vocabulary constituting the discourse of Southeast Asia is that the number of articles in politics section has been relatively small, as well as centered on inter-Korean relations, not on the political phenomenon of Southeast Asia itself. This is evidenced by the fact that the word 'North Korea' has always appeared at the highest frequency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among the vocabularies used in political section articles. This result shows that in the political section, the Korean media have considered Southeast Asia as a battleground for diplomac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Media is a place where diverse discourses are produced, rivaled, disseminated, consumed, and spread, and the discourse formed by the media has a decisive influence on public perception and practice. In that regard, the gap in perception of Southeast Asia between academia and the media is a common task that must be filled as soon as possible.

Ⅰ. 한국의 동남아 연구와 언론의 동남아 담론
Ⅱ. 분석 자료와 연구 방법
Ⅲ. 동남아 담론의 시기별 특징
Ⅳ. 동남아시아 공간의 담론적 구성
Ⅴ. 동남아 담론, 또는 동남아 연구 ― 더 넓어지고 깊어지기 위하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