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252.140
3.144.252.140
close menu
KCI 등재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의 생태학적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내용영역 및 구성요소 분석
The Analysis of Curriculum Areas and Content Elements of the Ecological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백수진 ( Baek Su-jin ) , 김진호 ( Kim Jin-ho )
지적장애연구 21권 3호 127-153(27pages)
DOI 10.35361/KJID.21.3.6
UCI I410-ECN-0102-2021-300-000272414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에게 가정, 학교, 지역사회, 직장 등과 같은 생태학적 환경에서 독립적으로 살아가는 데 필요한 생활기술을 체계적으로 가르치는 것은 특수교육의 효과 제고와 질적인 변화를 가져오게 하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다. 특히 특수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이 장애학생의 능력을 최대한 개발하여 현재와 미래 생활에 적응할 수 있는 자립생활에 있다면 이들을 위한 교육내용은 학교에서 배운 지식이 곧 자신의 현재와 미래의 삶과 연계되어 실제적인 자립생활 역량으로 나타날 수 있는 통합적 교육 접근이 요구되며, 이러한 관점에서 다양한 생태학적 환경에서 장애학생의 자립생활 역량을 높이는 데 필요한 기능적 생활기술을 생태학적 환경에 따라 체계화한 생태학적 교육과정(ecological curriculum)의 필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의 생태학적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내용영역과 구성요소를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최근 30년간 국내외 생태학적 교육과정 관련 45편 선행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생태학적 생활영역과 기능적 생활기술을 분석하여 공통적인 내용영역과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로서 생태학적 교육과정 내용체계를 구성하는 데 핵심체계가 되는 대영역 4개, 중영역 11개, 내용요소 143개를 최종 선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지적 및 발달장애학생의 독립생활에 필요한 생태학적 환경 중심의 내용영역과 구성요소를 범주화하고 구성요소별 기능적 생활기술을 구조화할 수 있는 내용체계 기준을 마련하였으며, 앞으로 생태학적 교육과정의 구체적인 내용을 개발하는 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eaching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functional life skills needed to live independently in ecological environment, such as home, school, community, and work,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that brings about qualitative change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The ultimate goal of special education is to develop the abilit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order to adapt themselves successfully to their present and future lives in various ecological settings. Therefore they have to learned integrated knowledge and functional life skills at school for their present and future independent lives. In this regard, the need for the systematic ecological curriculum and education is becoming more prevalent in accordance with the ecological environments for the living skills required to enhance the independent living capaciti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various ecological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raw and systematize common curriculum areas and content elements of the ecological curriculum by analyzing ecological life areas and functional life skills presented in the preceding studies on the ecological curriculum field at home and abroad over the last 30 years. To this end, a total of 45 research studies were analyzed, and as a result, 4 large areas, 11 sub-areas and 143 content elements of the ecological curriculum were finally derived that will be the key systems and elements for organizing an effective and comprehensive ecological curriculum. With these results, the content systems and standards could be prepared based on the ecological environment areas and content elements, needed for successful and independent liv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could also be used as useful resources to develop specific details of the national ecological curriculum.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 고 문 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