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7.107.90
18.117.107.90
close menu
KCI 등재
원유(阮攸)의 창오죽지가(蒼梧竹枝歌) 연구
A Study of the Chang-o-jukjiga of Nguyen Du(阮攸)
양훈식 ( Yang Hoon-shik )
국제어문 82권 133-159(27pages)
DOI 10.31147/IALL.82.6
UCI I410-ECN-0102-2021-800-000257690

이 논문에서는 18세기 베트남 한시의 일면을 이해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할 Nguyen Du(阮攸, 1765∼1820)의 _북행잡록(1813∼1814)_의 132수 가운데 <창오죽지가> 15수를 중심으로 그의 문학적 성과를 고찰하였다. <창오죽지가>는 원유가 중국 사행을 다녀와서 쓴 단일 제목으로 된 그의 시문 중에서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한 운문으로 베트남의 문학적 정서를 반영한 대표적인 시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유선(遊船)의 풍경(風景)과 이국적(異國的) 정취(情趣)의 묘파(描破), 사실적(寫實的) 경험(經驗)과 청신(淸新)한 표현(表現), 역사적(歷史的) 시공간(時空間)과 문명지향(文明志向)의 세 측면에서 그 내용과 성격을 고찰하였다. 유선의 풍경과 이국적 정취의 묘파에서는 <기십일(其十一)>의 단오일에 뱃놀이의 풍경을 통해 시각과 청각의 복합 감각적 이미지를 제시하여 이국의 정취를 생동감 있게 보여주었고 <기십이(其十二)>는 화려한 색 가운데 흰색과 색감의 대조를 통해 뱃놀이를 사실적으로 묘파해 냈다. <기오(其五)> 작품은 당대 유교적 지식인의 견해를 바탕으로 낯선 풍경에서 베트남인들과 중국인들의 정서적 차이를 보여주었다. 사실적 경험과 청신한 표현에서는 원유가 사실적 경험을 통해 청신한 표현으로 형상화한 시들이 제시되었다. <기칠(其七)> 작품은 시각의 대조와 청각의 대비를 통해 청신한 밤 풍정을 형상화한 시였고 <기사(其四)>는 무상한 시간의 흐름 속에 이름조차 알 수 없는 오래된 절에 거주한 한 스님의 정경을 원거리에서 조응한 화자의 감성이 드러난 일품(逸品)이었다. 역사적 시공간과 문명지향에서는 <창오죽지사>가 당대의 생활상과 애상적 분위기만을 묘사한 것이 아님을 이해할 수 있었다. <기삼(其三)>은 노래의 공간적·역사적 배경이 잘 드러났다. <기육(其六)>에서는 기러기가 향하여 가는 곳을 유종원이 살던 형양으로 제시함으로써 유교적 지식인의 문명 지향의식에 대한 희구를 드러냈다. <기팔(其八)>은 계룡산 천비각에 올라 천비의 죽음에 대해 이웃과 함께 향을 피워 애도의 심정을 담았다. <기일(其一)>은 계림이라는 공간에서 일어난 물이 장강에 흘러들어 광동의 배를 띄우기에 좋다고 하였다. <기이(其二)>에서는 지식인이 바라본 타국 문물의 흥성함을 넌지시 부러워하며 문명지향에 대한 의지를 반영하였다 죽지가(竹枝歌)는 원래 중국 사천지방의 민요 죽지사(竹枝詞)에서 따온 지방의 풍속이나 여인의 한을 읊은 노래라는 점에 착안하여 원유의 시문에서도 이러한 경향이 나타나는지 살펴본 결과 그의 시문에서는 ‘원통하고 애달픈 곡조’보다는 ‘생동감 있고 경쾌한 곡조’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원유는 전통적인 죽지사의 애상(哀傷)의 정조에서 벗어나 18세기 사행사로서 자신만의 밝고 경쾌한 정조를 담아 「창오죽지가(蒼梧竹枝歌)」에서 이국의 정취를 보여주었다. 이는 당대 유교적 인식을 가진 지식인의 경험이 작품에 고스란히 투영되어 사실(寫實)의 형상화가 이뤄진 것이다. 이 논문은 18세기 베트남 한시의 일면을 이해하는 길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paper reviews the literary achievements centering on the 15th work of “Chang-o-jukjiga” among 132 poems of Bac Hanh Tap Luc(北 行雜錄, 1813-1814) of Nguyen Du(阮攸), who would provide a glimpse of Chinese poetry in Vietnam in the 18th century. “Chang-o-jukjiga” is a representative poem reflecting Vietnam’s literary sentiment and accounting for the largest volume of the poet’s single-titled verses written after his visit to China. This study examines three aspects: the contents and characters of the Yuh-seon(遊船) scenery and graveyard of exotic atmosphere; realistic experience and fresh expression; and historical time and space and civilization-orientedness. In the scene of the mammary glands and the graveyard of exotic atmosphere, a combination of visual and auditory images is presented, encompassing the boat ride on a single day of “Gi 11” to provide a vivid picture of the exotic atmosphere, with a “Gi 10” realistic parody of the boat in the contrast of white and bright colors. Based on the views of Confucian intellectuals, “Chang-o-jukjiga” illustrates the emotional differences between Vietnamese and Chinese in unfamiliar landscapes. Nguyen Du’s poems are presented through factual, realistic experience with fresh expression. The work is a poem depicting a clear night scene through the contrast of vision and hearing, while the article is an example of the narrator’s emotional adaptation as a Buddhist monk who had lived in an old temple whose name was unknown. From historical time and space and a civilization-oriented perspective, it is understandable that “Chang-o-jukjiga” depicted more than just the lifestyle and mood of the day. “Gi 3” has a clear spatial and historical background to the song. In “Gi 6,” the place where the goose is headed is presented in the form of Yu Jong-won’s residence, expressing hope for Confucian intellectuals’ sense of civilizationorientedness. “Gi8” shows that he went up to Cheonbi-gak in Gyeryongsan Mountain to burn incense with his neighbor to express his condolences over the death of Cheon-bi. “Gi 1” says that the water from the space of Gyerim flowed into the Jang River, which is good for floating ships in Guangdong. In “Gi2,” we are envious of the prosperity of other cultures as seen by intellectuals, and it also reflects our commitment to a civilization-oriented style. It is a song that recites the customs of the region or the sorrow of a woman, originally taken from the folk song “Jukjisa” in Sichuan, China. Taking this into account,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is trend was also seen in the syntax of Nguyen Du’s works.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his verses consist of a lively and cheerful tune, rather than a “live and cheerful tune.” Thus, Nguyen Du described the atmosphere of the foreign country in “Chang-o-Jukjiga” with its bright and cheerful sentiment as an 18th-century event, moving away from traditional mourning. This is a portrait of the fact that the experiences of intellectuals with Confucian perceptions of the time were reflected in the works.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paved the way for understanding the facade of Vietnamese poetry in the 18th century.

1. 서론
2. 죽지가(竹枝歌)의 연변(演變)
3. 창오죽지가의 내용과 성격
4.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